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독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7기 94조 힘내지니]

  • 24.05.28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 저자 및 출판사: 너나위,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2024. 5. 28.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직장생활 0년차, 당신의 현주소]

#목적 #노후준비 #원동력

내생각하는 투자의 첫 번째 목적은 바로 ‘노후 준비’다

이러한 이유로 나는 투자라는 수단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할 때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생각할 것을 제안한다. 1단계는 바로 나와 내 가족에 관한 경제적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 즉 노후 준비다. 많은 이가 막연하게 머릿속에 그리고 있는 경제적 자유나 풍요로운 부자의 삶은 1단계 목표를 달성한 수 도전해도 늦지 않은 2단계 목표라는 걸 기억하자.

[Chapter2. 내가 부동산을 택한 이유]

#생산자산

내가 이 아파트를 매입할 때 얼마의 돈을 들였는냐는 중요하지 않다는점이다. 그저 매입한 아파트를 내가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일단 내가 소유하고 있으면 그 생산자산으로부터 얻을수 있는 과실은 그것의 소유주인 내 것이 된다는 말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가진 돈이 많지 않아도 더 비싼 생산 자산을 살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거기서 나오는 부가가치도 모두 내것으로 만들 수 있따.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려면, 이를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을때까지 생계를 위해 모든 일을 직접 해야하는 삶을 살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Chapter3. 전세금 레버리지로 7배 수익을 거두다]

#레버리지

내가 투자를 결정할 때 첫 번째 기준으로 삼는 것은 해당 물건이 현재 저평가된 상태냐 아니냐 하는 것이다. 이것이 잃지 않은 투자의 선결 조건이다. 부동산 호재를 투자결정의 조건이 아닌 보너스로 생각한다. 이미 가치 대비 저렴한 것을 샀다면 이후 발생하는 호재는 상승세를 더욱 강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호재만 믿고 투자하는 건 투자자로서 해서는 안되는 행동이다. 엄청난 호재가 있어도 그것이 부동산 가격에 이미 바나영되어 저평가 된 상태가 아니라면, 그 대상에 투자하지않는 것이 좋다.

[Chapter4. 수익률 440% 아는 지역을 늘린 대가]

#앞마당

비교해볼 수 있는 다른 지역을 많이 알아야 한다. 당장 투자금이 없어 어차피 투자를 실행 할수 없는 시기에도 꾸준히 발로 현장을 직접 찾아가야한다.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는 말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아는 지역이 많아야 투자 시점에 보다 빨리 자신 있게 실행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시간이 갈수록 성장하고 좋은 투자를 하고 싶다면,

투자를 할 수 있는 상황이든 아니든 아는 지역을 넓혀가기위해 노력해야한다. 부동산 투자에서는 발품이 가장 중요하다(현장방문)

[Chapter5. 위기가 나만 피해갈거라는 착각은 버려라]

#리스크 관리법

1. 처음부터 전세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적은 물건에 투자한다. = 입지가 좋은 곳(직장과교통)

2. 신규 주택 입주 물량이 예정된 곳이라면 신중하게 접근한다. 기존 주택의 전세가 변동에 가장 큰 변화를 미치는 것은 신규 주택 공급이다. 현금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변 지역에 3~4년 이상의 장기간, 해당 지역 인구의 1% 이상의 규모로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라면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마이너스 통장이나 신용대출 등으로 현금을 확보한다. 따라서 마이너스 통장이나 신용대출까지 모두 동원해서 부동산 투자해서는 안된다.(리스크대비용)

4.세제혜택 등을 위해 매입하는 물건을 임대용으로 등록하는 임대사업자라고 해도, 매도해 현금화가 가능한 투자 물건을 한 두 개 정도는 남겨둔다. (비상상황 대비)

[Chapter6. 확실한 투자기준 세우기]

#저평가 #소액 투자금 #리스크 감당

1.해당 아파트의 가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저평가 여부를 잘 알아보려면 먼저 당신이 입지와 가격을 두루 아는 지역을 늘려야한다.

2. 투자금이 적게 드는가? 투자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 고려해야 한다.

3. 리스크 감당가능한 수준인가? 매매한 아파트의 전세 임대를 잔금기한 내에 맞추지 못해 온전히 내 자금으로 잔금을 치러야 하는 경우, 임대는 순로롭게 놓았으나 2년 뒤 전세가가 떨어져 하락하는 만큼 세입자에게 반환해야 하는 경우. --> 이 둘을 감당할 수 있는 재정적 여건이 되는지 계산해보라.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자본주의사회에서 우리가 투자를 해야만 하는 이유. 소비자산이 아닌 생산자산을 쌓음으로써 노후대비를 해야한다.

2. 입지가 좋은 곳(가치가 좋은)을 가치 보다 싸게 사서 전세를 레버리지하여, 투자한다.

3. 한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조급해하지말고, 느리게 가더라고 멀리 갈 수 있는 투자자가 되도록 투자자가 해야할 행동을 매일매일 묵묵히 해야 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투자할 지역에 대한 정보를 손품, 분임, 단임, 시세따기 등으로 숙지하고 여러 번 방문하여 익혀, 완벽 할 때 부동산 매물보러 가보기(기본지식 없이 방문 금지)

2. 아는 것에서 멈추지 말고 반드시 이를 실행에 옮기기

3. 비교 평가를 위한 아는 지역 늘리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69) 지금 당신이 ‘시간을 투입해서 돈을 버는 사람’에 해당한다면 ‘시간과 무관하게 돈을 버는 사람’으로 이동해야 한다..

(p.151) 대안이 있는 사람은 급할 것이 없다. 투자 할 수 있는 지역과 물건을 얼마나 아느냐에 따라 그 결과 역시 달라진다. 이것이 안되면 저것, 저것이 안되면 다른 것을 택하면 된다. 이처럼 아는 지역을 늘려두면, 저평가 된 투자처를 발굴할 때뿐 아니라 실제 협상에서도 강력한 무기를 손에 쥘 수 있다.

(P. 155) 잃지 않는 투자를 하려면 세가지를 갖춰야한다. 첫째는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 둘째는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셋째는 역전세 등에 대비하여 내 자산을 방어 할 수 있는 자금 동원력이다.

(P. 187) 자본 재배치를 통해 무조건 돈부터 만들게 아니라,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춰야한다. 실력이 뒷받침된 후에야 비로소 돈을 만들 자격이 생긴다는 걸 기억하라. 


댓글


힘내지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