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의 개요
1. 제목 : 돈의 심리학
2. 저자 및 출판사 : 모건 하우절 / 인플루엔셜
3. 읽은 날짜 : 24.05.31. ~ 24.06.02.
4. 총점 : 10/10
'돈'이란 어떤 것 일까?
= 이 책에서 기억해야 할 중요한 것들
* 꼬리사건
p. 129
비즈니스, 투자, 금융에서 꼬리가 모든 것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나면 많은 것들이 잘못되고, 망가지고, 실패하고, 추락하는 게 '정상'임을 깨닫게 된다.
* 안전마진
p. 223
세상은 그 누구에게도 친절하지 않다. 적어도 지속적으로 친절하지는 않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저지를지도 모를 실수에 대비한 방책이 필요하다. 계획이 계획대로 되지 않을 때를 대비한 계획을 마련해둬야 한다.
"안전마진의 목적은 예측을 불필요하게 만들기 위한 것" - 벤저민 그레이엄
- 아주 저렴하게 매수하면 굳이 어느 정도까지 오를지 매우 정확하고 정교하게 따질 필요가 없다. 받아들일 수 있는 잠재적 결과의 범위를 넓게 잡을 수 있게 된다.
* 단일 실패점
p. 235
백업은 중요하다. 아주 중요한 시스템이라면 백업의 백업도 만들어 놓는다.
* 낙관주의
p. 286
중간에 차질이 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좋은 결과가 나올 확률이 크다는 믿음.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서 문제를 일으키려 하기보다는, 상황을 조금 더 좋게 더 생산적으로 만들려고 한다는 것이다. 복잡하지도 않고 보장되지도 않지만 대부분의 사람에게 대부분의 경우 가장 합리적인 베팅이다.
= 주요 내용들
p. 70
나는 그가 결코 중분히... 가질 수 없는 것을 가졌지.
- 때로는 얼마를 버느냐, 얼마를 가지고 있느냐보다 어디까지가 충분한지, 만족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것 같다.
p. 77
결과에서 기대치를 뺀 것이 행복이다.
p. 81
당신이 부자가 되었을 때 다음 네 가지 질문을 던져보라
1. 얼마나 더 벌고 싶은가?
2. 누군가와 비교하고 있진 않은가?
3. 충분하다고 느끼는가?
4. 돈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p. 85
어마어마한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 반드시 어마어마한 힘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p. 94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책은 '닥치고 기다려라'가 되어야 한다. 달랑 페이지 한 장에 장기경제 성장 그래프가 그려져 있는 책이다.
- 꾸준한 수익률에 오랜 시간을 더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결과를 만든다.
p. 108
'살아남는다'는 사고방식을 현실 세계에 적용하면 핵심은 세 가지다.
1. 파산하지만 않는다면 결국엔 가장 큰 수익을 얻는다.
2. 계획이 계획대로 되지 않을 때를 대비한 계획을 세운다.
3. 미래에 대해 낙관적이면서 동시에 비관적이어야 한다.
부자가 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부자로 남는 것이다. 바로 살아남는 일이다.
p. 119
맞는가 틀린가 그것이 중요한 게 아니다. 중요한 것은 옳았을 때 얼마를 벌었고, 틀렸을 때 얼마를 잏었는가이다.
p. 139
내 시간을 내 뜻대로 쓸 수 있다는 게 돈이 주는 가낭 큰 배당금이다.
p. 149
<이 모든 걸 처음부터 알았더라면> 칼 필레머
p. 171
내 시간을 내 뜻대로 쓸 수 없으면 불운이 던지는 대로 무엇이든 수용하는 수밖에 없다.
p. 172
부를 쌓는 것은 소득, 투자수익률과 거의 관계가 없다. 저축률과 관계가 깊다.
저축을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득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겸손을 늘리는 것이다.
저축을 하는 데는 특별한 이유가 필요하지 않다.(무엇을 구매하기 위해 저축을 하는 것이 아니다. 예측 불가능한 최악의 순간을 대비하기 위해 저축한다. 그런데 최악의 순간에는 무엇이 언제 올 지 모른다. 그래서 저축을 하는 이유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p. 185
금융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는 냉철하게 이성적이 되려고 하지 마라. 그냥 '꽤 적당히 합리적인' 것을 목표로 삼아라.
1. 투자 대상을 사랑하라.
- 사랑하면 오래할 수 있다. 오래하는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래하면 성공한다. 그 분야, 그 종목, 그 업계를 사랑하라 그러면 오래할 것이고 그러면 성공할 것이다.
2.
p. 196
"앞뒤가 안 맞을 수도 있지만 인생이 늘 앞뒤가 맞는건 아니잖아요" 실제로 인생은 앞뒤가 맞는 경우가 오히려 드물다.
p. 217
일반적인 것, 사람들이 탐욕이나 공포와 맺고 있는 관계, 스트레스를 받을 때 행동하는 방식, 인센티브에 반응하는 모습 같은 것들은 시간이 지나도 그대로인 경향이 있다. 돈의 역사를 탐구할 땐느 바로 이런 것들에 주목해야 한다.
이에 반해 특정한 트렌드나 업계, 부문, 시장의 인과관계, 사람들이 자기 돈으로 뭘 해야 하는지 등등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바뀐다. 그러니 역사가들은 예언가가 될 수 없다.
p. 228
실수의 여지를 생각할 때 엄밀한 의미에서 '견딜 수 있는 것'과 '정서적으로 가능한 것' 사이의 차이를 간과하기 쉽다.
p. 230
큰 돈을 벌려면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리스크 때문에 망할 수 있다면 그 어떤 리스크도 감수할 가치가 없다.
p. 246
장기적 의사결정을 준비한다면 염두에 둘 두 가지
1. 금융 계획에서 양극단은 피해야 한다. (내가 매우 낮은 소득에도 만족할 거라 가정하는 것과 같은 극단적인 가정. 이는 그 단점 때문에 나에게 후회를 남긴다.) 인생 모든 지점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미래의 후회를 피하고 끈기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된다.
2. 우리의 마음이 변한다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내가 지금과 다른 사람일 때 세웠던 금융 목표는 가차 없이 버리는 편이 낫다. 그것이 미래의 후회를 최소화하는 전략이다. 더 빨리 결단을 내릴수록, 더 빨리 새로운 복리의 마법을 시작할 수 있다.
p. 263
투자에서 변동성은 거의 언제나 수수료이지 벌금이 아니다. 시장수익률은 절대로 공짜가 아니며 앞으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p. 297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p. 320
"리스크란 내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생각했다고 여길 때 남은 것이다." - 칼 리처즈(Carl Richards)
p. 333
"보편적인 진실 몇 가지"
1. 일이 잘 풀릴때는 겸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일이 잘못될 때는 용서와 연민을 찾기위해 최선을 다해라
2. 자존심은 줄이고 부는 늘려라(지금 당장 그 돈으로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을 덮어두지 않으면 부는 절대로 쌓이지 않는다.)
3. 밤잠을 설치지 않을 방법을 택해라
4. 시간을 보는 눈을 넓혀라
5. 포트폴리오의 일부가 아닌 전체를 보라.(소수의 작은 것들이 다수의 결과를 책임진다.)
6. 내 시간을 내 뜻대로 하는 데 돈을 써라.
7. 남에게 더 친절하고 자신에게 덜 요란해져라
8. 저축하라. 그냥 저축하라.
9. 성공을 위한 비용은 기꺼이 지불하라.
10. 실수의 여지에 항상 대비하라.
11. 장기적인 결정을 내릴 때 극단적 선택은 피해라
12. 리스크를 좋아하라
13. 나의 게임이 무엇인지 정의하라.(초단기 트레이딩인지 10년 장기 투자인지 30년 초장기 투자인지 정해라.)
14. 돈 문제에 있어 각자 의견은 다르다. 혼란을 존중하라.(사람마다 의견이 나뉜다. 하나의 정답은 없다. 오직 나에게 맞는 답이 있을 뿐이다.)
p. 349
"진정한 성공이란 극심한 경쟁의 쳇바퀴에서 빠져나와 내 활동을 마음의 평화에 맞추는 것이다." - 나심 탈레브
- 내 마음의 평화에 맞는 나의 활동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수준인지 생각해보아야겠다.
p. 350
살다보면 행복할 것인지 '옳을' 것인지 둘 중에 선택을 내려야 할 때가 있다.
- 높은 수익률만큼 내가 아주 마음 편하게 발 뻗고 누워 잘 수 있는것도 그만큼 중요하다.
p. 354
전략이 성공하는데 중요한 몇 가지가 확실히 포함된다면 간단한 투자 전략으로도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다.
- 저렴한 가격의 괜찮은 서울(수도권) 아파트를 사면 나름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다. 간단해 보이는 투자 전략인걸?
p. 385
돈이 주는 가장 큰 배당금은 네 시간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네가 원할 때, 원하는 일을,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사람과 함께, 원하는 만큼 오래 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그 어떤 고가의 물건이 주는 기쁨보다 더 크고 더 지속적인 행복을 준다.
p. 386
원하는 걸 모두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필요와 욕망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p. 387
모든 것에는 대가가 있다. 단순히 가격표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바쁜 직업의 대가는 가족, 친구와 떨어져 보내는 시간이다. 장기적인 시장수익률의 대가는 불확실성과 변동성이다.
p. 401
투자는 '금융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돈과 관련한 '사람에 대한 연구'임을 깨달아라.
경제적 성공이란 투자에 성공하는 것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돈을 잘 벌고, 저축을 잘하고, 잘 쓰고, 각자의 성격에 맞는 적절한 장기 목표를 가질 줄 알아야 한다.
댓글
야채기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