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 프레임
2. 저자 및 출판사: 최인철 / ㈜ 북이십일 21세기북스
3. 읽은 날짜: 2024.07.08 ~ 24.08.17
4. 총점 (10점 만점): 8점/ 10점
게리롱 튜터님의 추천도서 ‘프레임’
STEP2. 책에서 본 것
선택과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순간 반드시 던져봐야 할 질문은 “내가 내린 선택이나 결정이 절대적으로 최선의 것인가, 아니면 프레임 때문에 나도 모르게 선택되어진 것인가?”이다. 어떤 프레임으로 제시 되더라도 똑같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경제적 지혜의 핵심이다.
진정으로 지혜로운 부자들은 돈의 절대 액수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상대적 비교에 따른 푼돈이란 이름을 거부한다. 그래서 그들은 수백억을 가지고도 100원짜리 하나도 소중히 여기지만, 상대적 가치 프레임에 빠져 있는 사람들은 콩나물 값을 깎을 때는 100원을 귀하게 여기다가도 10만원 짜리 물건을 살 때는 100원을 하찮게 여겨 깎으려고도 하지 않고, 혹시나 100원을 깍아준다고 하면 오히려 기분 나빠한다.
지혜로운 경제생활의 출발은 돈에다 이름을 붙이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특히 공돈이라는 이름은 피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미 공돈이라는 이름이 습관이 되어 있다면 사회심리학자 토머스 길로비치의 조언대로 해보라.
“공돈을 은행에다 2주간만 저축해놓아라”
은행에 예치되어 있는 동안 그 돈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공돈’이라는 이름에서 ‘예금’이라는 이름으로 심리적 돈세탁이 이루어질 것이고, 노력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그 돈을 아끼게 될 것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세상 모든일은 내 마음먹기 달렸다’ 라는 말은 내가 매 순간 항상 생각하려고 노력하는 문구이다.
어떤 일을 행하기 전 그 일에 대한 걱정이나 부담을 갖고 시작하면 결국 일을 그르치게 만들게 되고, 어려울 게 예상이 되더라도 흥미롭다는 마음으로 마주하면 결과가 좋지 않아도 좋은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 ‘프레임’이라는 책은 이런 심리를 디테일하게 풀어놓아 아! 아! 몇번의 감탄을 하게된 책이다.
물론 월부시작하여 읽은 책 중 가장 장기간 동안 읽었지만 지인들에게 충분히 권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프레임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이다
어떤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세상을 향한 마인드셋, 세상에 대한 은유, 사람들에 대한 고정관념 등이 모두 프레임의 범주에 포함되는 말이다. 마음을 비춰보는 창으로서의 프레임은 특정한 방향으로 세상을 보도록 이끄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보는 세상을 제한하는 검열관의 역할도 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지혜로운 사람의 11가지 프레임
의미 중심의 프레임을 가져라
정말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가까운 미래나 현재의 일도 늘 상위 수준으로 프레임 해야 한다. 일상적인 행위 하나하나를 마치 그것을 먼 미래에 하게 될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의미 중심으로 프레임 하는 습관을 길러라.
접근 프레임을 견지하라
자기 방어에 집착하지 말고 자기 밖의 세상을 향해 접근하라. 다른 사람에게 다가갈 때, 새로운 일을 접했을 때 늘 접근의 프레임을 견지하라. 그것이 두려울 땐 기억하라. 접근함으로 인한 후회는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안주함으로 인한 후회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커진다는 것을!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간절히 원했던 내일이다”
“다시는 사랑하지 못할 것처럼 사랑하라”
“늘 마지막으로 만나는 것처럼 사람을 대하라”
내가 행복하면 내 친구가 행복해질 확률은 약 15% 증가한다.
내 행복이 친구의 행복에 영향을 준다는 점은 사실 그리 놀랍지 않다. 따라서 이것이 이 연구의 주된 결론은 아니다. 이 연구가 밝혀낸 매우 놀라운 사실은 내 행복이 내 친구의 친구뿐 아니라 내 친구의 친구의 친구의 행복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내 친구의 친구의 친구조차도 내 행복 여부에 따라 그들이 경험하는 행복감이 달라질 수 있다고 이 연구는 밝히고 있다. 나는 그저 행복할 뿐인데, 이 때문에 생면부지의 사람도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진정한 지혜는 내가 나 자신의 행동을 설명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마음의 습관에서 나온다.
정말로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가까운 미래나 현재의 일도 늘 상위 수준으로 프레임 해야한다. 일상적인 행위 하나하나를 마치 그것을 먼 미래에 하게 될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의미 중심으로 프레임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댓글
프레임 읽어 보고 싶은 책이네요~~^^ 행복으로 가는 길은 지금 이 순간을 충분히 즐기고 감사해 하는것!!! 다시 안 올 소중한 오늘 하루를 감사한 마음으로 즐겨야겠어요~~^^ 최고로 행복한 사람들은 혼자있는 시간이 적었고, 사람들을 만나고 관계를 유지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니... 전 혼자 있는게 좋고 사람들을 만나는 시간이 너무 적은데...ㅋㅋㅋ 최고로 행복하진 않고 적당히 행복해야하나요~~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