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 기초반 39기 64조 힙지] 힙지의 내집마련 예산 계산 및 후보 단지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힙지입니다.

1주차 내집마련 기초반을 듣고 과제를 해보았습니다.

하다보니 더 많은 고민이 생기긴 했는데 열심히 공부하며 3주동안 차분히 풀어나가 보겠습니다.


1.내집마련 예산 계산하기


1단계. 종잣돈과 소득 확인하기

-원천징수영수증, 우리집 종잣돈, 평균생활비/ 가계부를 쓰고 있어 쉽게 정리 가능했습니다.


2단계. 정책대출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기

-디딤돌, 특례보금자리론이 모두 해당됩니다만 사고 싶은 집의 매매가가 6억 이상이라 둘다 불가능하여 일반대출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고민! 똘똘한 한채인가 다주택인가..?


3단계. 내 소득으로 감당 가능한 대출액 확인하기

4단계. 대출 종류별로 한도 적용한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앞으로 몇년 후 직업과 수입에 변동이 있을 예정이라 시트에 적힌대로 가장 보수적인 태도로 대출액을 설정해보았습니다.

근데 욕심이나요!!!!


5단계. 규제지역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비규제지역 선택시 대출 가능액보다 감당 가능한 대출금액이 적었고,

규제지역 선택시에는 감당 가능한 대출 금액보다 컸습니다.


6단계. 매매가 한도별 대출 가능액 확인하기

-일반대출 가능함을 확인하였습니다.


7단계. 6억 초과 대출 확인하기

-비규제 지역에 내가 사고싶은 집의 매매가를 적용했더니 6억 초과분에 O억이 나왔는데 이게 맞는건가 싶었는데,

감당가능한 대출보다 크니 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


8단계. 최종 예산 확인하기

-탈탈 턴 종잣돈+감당 가능한 일반대출을 포함하니 생각보다 더 많은곳을 볼 수 있다는걸 확인하여 고민이 깊어졌습니다.



2.예산 범위 내 지역 알아보기


내집마련 예산표 최종 예산 : OO억 (일반대출 : DSR적용)

최종 예산 +20% : OO억 O천만

2인가구 (25평~34평)

본인 직장 : 학동역




3.네이버 부동산에서 맞는 단지 찾기




4.단지별 강남 소요시간 및 가족 생활권 체크하여 최종 후보 선택

선택한 단지들이 평단가 자료에 있는 금액보다 높았습니다.

전고점에서 별로 빠지지 않은 가격이었고, 매매는 적고 및 전세 매물은 거의 없었습니다. 워낙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기는 하지만 근처 리모델링 단지들의 이주가 전세와 매매가에도 영향이 있었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결론은 현재 시점에서는 예산에 맞는 다른 지역의 대안 매물을 더 찾아보고, 이곳은 조금더 지켜보는 방향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


힙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