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안녕하세요?
바다유리입니다.
책 제목: 몰입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알에이치코리아
읽은 날짜: 2024년 8월27일 화~ 8월31일 토
STEP1: 왜 몰입이 필요한가?
몰입, 최고의 나를 만나는 기회
몰입상태에서는 한 가지 목표를 위하여 자기가 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얼핏 보기에 마라톤은 아무나 도전할 수 없는 초인적인 운동 같지만 적절한 훈련만 거친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처럼,
몰입적 사고 역시 원리를 깨닫고 단계적인 훈련을 거치면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있는 능력이다.
-p12~15
실패한 인생 뒤에는 그 다음 인생이 없기 때문에 위로 받을 방법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p68
공부를 한다는 것은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단지 의자에 앉아 있는 것에 불과하다.
서 있는 것보다 훨씬 편하다.
그런데 계속 앉아만 있으면 심심하니까
책을 펼치고 그것을 보는 것이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그러나 잠을 줄이게 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수면 부족으로 머리를 쓰는 일이 괴로워지면서 공부하는 것이 지옥처럼 힘들고
학습 효율도 떨어진다.
-p70
'참으로 중요한 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은 그 생활이 단순하다.
그들은 쓸데없는 일에 마음을 쓸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 톨스토이
-p77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한계에 부딪히더라도 정말 중요한 문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 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나는 윤 교수님의 말대로 작품을 만들 듯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리라 굳게 결심했다.
-p83
적용: 작품을 만들듯 임장을 하고, 임장보고서를 쓰자.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야말로 열심히 생각하는 것에 인생을 송두리째 던져볼 만했다.
이른바 ‘work hard’의 페러다임에서 ‘think hard’의 페러다임으로
일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 탄 것이다.
-p85
우리의 삶의 행로도 궁극의 법칙,
즉 가장 확률이 높은 방식으로 결정된다.
우리 몸에 서 무엇이 내 생각과 행동의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것은 정보를 처리하고 감정을 처리하는 곳, 바로 시냅스다.
무의식이 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프로이드가 처음으로 제안한 이래 너무나 잘 알려져 왔다.
따라서 내 삶의 행로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려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p91~94
적용: 확언 실천하기
사람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는,
소위 멍때리는 상태에 있을 때 이 영역이 활성화되면
뇌가 초기화되어서 창의성과 특정 수행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많은 사람이 몰입이란 긴장된 상태에서 정신 바싹 차리고 집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런데 내가 이야기하는 몰입은 그런 긴장된 상태가 아니고,
쉬는 듯이 느긋하게 천천히 생각하는 명상적 사고를 하라는 것이다.
-p133~134
적용: 때론 멍때리는 시간도 갖기, 쉬는 듯이 느긋하게, 명상적 사고.. 몰입을 체험해보기
몰입상태에서는 꿈을 꾸지 않는다.
-p138
천재의 뇌로 바뀌는 ‘50시간 몰입의 법칙’
아무런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1초도 쉬지 않고 생각하기를 지속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몰입도가 올라가는 경험을 7년 동안
반복해서 경험했다.
50시간을 연속적으로 생각해서 몰입도 100% 상태가 되면
지적인 능력에 있어서 불연속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누구라도 3개월 정도만 자기가 하는 일에 온 힘을 쏟는다면
그 분야의 천재가 될 수 있고,
도인이 될수 있고,
슈퍼맨이 될 수 있고,
내가 그랬던 것처럼
눈이 형형하게 빛나고 총기가 번득이면,
앞에 있는 사람 또한 그 기운을 느낄 수 있다.
-p144-148
몰입의 두가지 방식
강한 몰입: 생각을 며칠이고 몇 주일이고 오랫동안 연속적으로 하는 방식
약한 몰입: 시간이 날 때마다 불연속적으로 생각하는 방식
-p149
선잠 상태는 잠이 들기 시작해서 10-15분 정도로 수면의 n1단계라고 한다.
이러한 선잠상태에셔 문제해결능력이 올라간다.
-p179
중요한 아이디어는 대부분 수면 중에 얻어지며,
수면 중에 뇌는 각성 상태와는 다른 초능력에 가까운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영감을 얻을 때까지 오랫동안 피나는 노력을 기울인
사람들의 정성이 있었다는 것을 간과해서 안 된다.
-p198
숙면일여의 몰입 상태에서 서너 시간 자고 일어나면
아이디어가 가장 많이 떠오르고
다시 잠이 들어 아침에 일어나면 생각나는 아이디어가 거의 없다.
따라서 잠든 상태에서 떠올린 아이디어를 붙잡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잠이 들고서 서너 시간 후에 일어나는 것이다.
p199
가치관을 바꾸는 일은 사람을 바꾸는 일이다.
가치관이 바뀌면 그 효과는 평생 지속된다.
몰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관이 바뀌면
자신이 하는 일이 여려 다른 일에 비해 훨씬 더 중요한 의마가 있으므로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던질 만한 가치가 있다는 확신이 들게 된다.
죽음과 삶에 대한 깊은 통찰과 더불어 진정으로 의미있고 행복한 삶은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몰입함으로써 얻는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이때부터 진정한 의미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능력을 발휘하기 시작하고,
새로 발견한 생산적 목표를 향해 매진하게 된다.
-p205
장기간의 몰입을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은 자신이 가진 잠재력을
모두 동원하면 어느 정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
몰입적인 사고를 오랫동안 하다 보면 사고력이 놀라울 정도로 발달하게 된다.
-p211
중요한 것은 관련 지식이 없어도
학문이 아닌 산업체에서도 몰입으로 원인을 찾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p213
나폴레옹 힐의 성공철학
첫째, 확고한 목적 의식과 불타는 강렬한 의욕을 갖는다.
둘째,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착실히 실행해나간다.
셋째, 주위 사람들의 부정적인 견해는 깨끗이 무시해버린다.
넷째, 나의 목표와 계획에 찬성하며 항상 용기를 북돋워주는 사람을 친구로 사귄다.
-p230~231
매슬로의 욕구단계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 소속과 사랑 욕구 →자존감의 욕구 →인식의 욕구
→ 미적 욕구 → 자아 실현 → 초월,영적 상태
몰입상태에서 경험하는 자아실현과 종교적 초월의 경험,
매슬로의 자아실현이 모두 같은 심리적 특징을 갖지는 않겠지만,
몰입은 그 어떤 것보다 가치관을 변화시키는 놀라운 경험이 될 것이다.
-p233~234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연구에 의하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하루 평균 68분을 초과하는 사람들은 우울감을 더 심하게 느꼈다.
반면 평균 17분 사용하는 사람들은 건강한 정신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가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전두엽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된다.
-p245~246
몰입은 손상된 뇌와 집중력을 회복시킨다.
뇌의 집중력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는
도파민 디톡스, 독서, 글쓰기, 공부, 운동,
그리고 찬물 샤워오 같은 고통을 동반하는 방식이 있다.
단순 암기보다는 토론,
관찰보다는 창작,
수동적인 학습보다는 적극적인 이해와 실천,
주입식 교육보다는 토론 수업 같은 활동이
전두엽을 더욱 활성화한다.
-p248
몰입은 고도의 생산성과 지고의 즐거움을 만든다.
현재의 나는 지금껏 내가 해온 선택의 총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p257
의도적인 노력을 통해 수동적인 물입을 능동적이 몰입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능독적인 몰입으로 인생을 바꾼 사람
에디슨 ‘18시간 몰입의 법칙’
-p266-268
‘진짜 천재’는 자기 스스로 생각해서 그 방법을 찾아낸 사람이다.
항상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p282
유대인은 자식에게 지혜와 지식을 주려고 하지만,
우리나라 부모들은 자식에게 좋은 학별울 주려고 한다.
-p296
인류가 알지 못하는 미지의 영역이 있다.
미지의 영역은 인공지능으로 학습될 수 없다.
영영과 미지의 영역 사이의 경계를 지식의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덧셈과 뺄 셈을 가르치는 것이 창의성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교육하는 것일까?
바로 ‘가르쳐 주지 않는다!’는 것이 방법이다.
-p309
1분밖에 생각할 줄 모르는 사람은 1분 걸려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밖에 못 푼다.
60분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은 그보다 60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10시간 생각하는 사람은 그보다 600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루에 10시간씩 10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6,000배까지,
100일 생각하는 사람은 6만 배 어려운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
천재와 보통 사람 사이의 지적 능력 차이는
질보다는 양의 문제이다.
풀리지 않는 문제를 오랜 시간 생각하여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최선의 학습 방법이라고 한다면
영재교육운 아이들에게 고난도의 문제를 내주고
오랜 시간을 생각하여 스스로 해결하도록 유도하는 교육일 것이다.
-p312
유대인들은 아이에게 학문을 가르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학문을 배우고 자기 것으로 만드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교육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주입식 교육이 아닌,
원리를 터득하고 사고와 응용력을 길러주는 교육법을 사용한다.
-p315
적용:
월부방식과 일맥상통한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독서, 강의 통해 배우고 임장과 임보를 작성하면서 배운 것을 적용하고
나아가 투자에 이르고, 그 과정을 무한 반복함으로써
진정한 투자자로 거듭나는 것이 아닐까
자신감은 내적인 목표의 기준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다.
즉 인생의 목표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다.
높고 확고한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우리 신체의 목표지향 매커니즘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이다.
-p318
생각과 몰입이 최고의 경쟁력이다.
온 힘을 다해 열심히 일하자는 work hard의 패러다임은
오랫동안 우리의 의식을 지배해왔다.
몰입으로 이어지는 think hard의 패러다임에서는
학습이나 일을 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think hard의 패러다임에서는 보장되지 않는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실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행복하게 산다.
본능은 원하지 않는데 억지로 일을 하는
work hard의 패러다임은
본능이 원해서, 자기 자신이 좋아서 하는
think hard의 패러다임의 효율을 절대 따라갈 수 없다.
일이 삶의 수단이 되는 것보다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어야
보다 의미 있고 삶다운 삶을 살 수 있다.
-p335~336
‘슬로싱킹’에 의한 몰입은
이완된 상태에서 집중하고,
생각하는 과정이다.
시간에 쫓기지 않는 여유로운 마음가짐으로 몰입하게 되면
몸과 마음이 느긋해지고,
집중력이 유지되어서 깊은 몰입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p359
STEP2: 몰입을 실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몰입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들
완전한 몰입에 들어가는 3일간의 과정
1일차:
잡념을 털어내고 자세를 만든다.
생각을 할 때는 되도록이면 눕지 말고,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앉아서 생각하다가도 선잠을 지나 완전히 잠이 드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떄는 앉은 채 머리를 뒤로 기대고 잠이 들면 된다.
생각하다가 기억하고 싶은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과 관련되어 도움이 될 만한
사실이 떠오르면 즉시 노트에 기록한다.
30분 정도 땀 흘리는 운동을 한다.
잠자리에 누워서도 생각을 하다 잠이 들어야 한다.
2일차:
아이디어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3일차:
생각하는 재미가 솟구친다.
약하게 혹은 강하게 몰입에 이르는 여섯 단계
약한 몰입 1단계: 슬로싱킹 터득하기
목표:
이완된 상태에서 조급함 없이, 쉬는 것처럼 생각하는 슬로싱킹 방법을 터득한다.
방법:
5분 이내로 답을 구할 수 있는 문제를 골라서 편안하게 쉬는 듯이 생각할 수 있음을 경험한다.
슬로싱킹이 익숙해질 때까지 반복한다.
약한 몰입 2단계: 10분에서 10시간까지 도전하기
목표:
처음에는 답이 보이지 않더라도 계속 생각하면 답이 나온다는 믿음을 가지게 된다.
의도적인 몰입을 일상에 다양하게 활용한다.
방법:
미지의 문제에 도전해 10시간까지 포기하지 않고 생각한다.
의도적인 몰입으로 워러요병을 없앨 수 있음을 경험한다.
의도적인 몰입으로 나의 인식을 바꿀 수 있음을 경험한다.
약한 몰입 3단계: 10시간 이상 도전하기
목표:
문제를 푸는 게 불가능해 보여도 포기하지 않고 계곡 몰입하면 해결된다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의도적인 몰입을 자동 목표지향 메커니즘에 활용한다.
방법:
해결해야 할 문제를 자투리 시간이 날 때마다 생각해서 풀릴 때까지 도전한다.
목표를 향한 동기부여와 구동력을 올리기 위해 의도적인 몰입을 한다.
강한 몰입 1단계: 하루 이상 연속해서 생각하기
목표:
하루 이상 연속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강한 몰입 2단계를 위해 슬로싱킹을 확실하게 익힌다.
행복한 최선을 지속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방법:
업무상 중요하지만 어려운 문제를 하루 이상 연속적으로 몰입한다.
주중에는 자투리 시간을 통한 약한 몰입을 하고 주말에는 강한 몰입을 한다.
하루 이틀 최선을 다해야 하는 상황에 활용한다.
강한 몰입 2단계: 일주일 이상 연속해서 생각하기
이단계에서 숙면일여의 상태를 경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그 문제를 생각하면서 잠이 들고 깨어날 때 이미 그 문제를 생각하고 있어야 한다.
목표:
의식 속에 문제와 나만 존재하는 고도의 몰입 상태를 경험한다.
문제를 생각하며 잠들고, 문제를 떠올리면서 잠에서 깬다.
잠이 들 때 고앙되는 장기기억 인출 능력으로 기적과 같은 아이디어를 얻는 경험을 한다.
방법:
풀리지 않는 문제를 슬로싱킹으로 7일 이상 연속해서 생각한다.
매일 규칙적으로 숨이 차고 충분한 땀을 흘릴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을 30~40분 한다.
만약 잠을 못 이루는 경우 반드시 아침이나 오후에 수면을 보충한다.
강한 몰입 3단계: 한 달 이상 몰입하기
목표:
슬로싱킹으로 한 달 이상 하나의 문제만 생각하며 고도의 몰입을 체험한다.
한 달 이상 최선을 다해야 하는 프로젝트나 수험공부에 적용하여 원하는 결과도 얻고
행복한 최선을 경험한다.
장기간 지속한 고도의 몰입을 통해 내적인 변화에까지 다다름으로써
삶을 대하는 태도의 전환과 최상의 삶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다.
방법:
한 달 이상 하나의 문제에 몰입한다.
최선을 다해야 하는 활동에 대해 한 달 이상 생각의 끈을 이어간다.
매일 규칙적으로 숨이 차고 충분한 땀을 흘릴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을 30~40분 한다.
당신도 할 수 있다, 몰입 8계명
1 . 명확한 목표를 세운다
2. 사전 지식을 공부한다
3. 몰입 시간을 확보한다
4. 몰입은 이완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5. 잠은 꼭 자야 한다
6. 선잠을 활용한다
선잠은 앉아서 자야 하며, 보통 20분을 넘기지 않는다.
7.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다
8. 답이 보이지 않아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적용: 임보작성시 활용하기
STEP3: 용어 정리
엔드로피 법칙이란 모든 현상은 언제나 전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법칙이다.
쉽게 말해 이 세상은 계속 무질서해지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는 것이다.
엔드포피의 물리적 의미는 ‘확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몰입은 '의식의 엔드로피가 높은,
확률적으로 구현하기 쉬운 상태,
즉 산만한 상태를 의도적인 노력으로
‘엔드로피가 낮은, 확률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상태’,
즉 고도로 집중된 상태로 만드는 정신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2.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a, b, ca,b,c[1]라 하고 변 a, ba,b 사이 각도가 직각을 이룰 때, 즉 변 cc가 빗변일때 a2+b2=c2a2+b2=c2[2] 가 성립함을 뜻하는 것으로서,[3]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가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하여 '피타고라스 정리'라고 한다.[4] 페르마의 대정리의 함수 표현을 빌려 FLT(2)FLT(2)로 쓰기도 한다.
3. 궁극의 법칙에 의하면 모든 현상은 가장 확률이 높은 방식으로 결정된다.
4. 시냅스는 정보를 처리하고 감정을 처리하는 곳이다.
시냅스는 신경세포들(뉴런) 사이에서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가 이루어지며
흥분과 자극이 전달되는 곳이다.
5. 슬로싱킹: 천천히 생각하기
6. 아세틸콜린
7. 램수면
8. 세렌디피티 p194
9. 숙면일여 p199
10. 도파민 디톡스 p249
11. 자가 수용체 p254
12. 마이너스 피드백 p255
13. 가소성 p259
14. 18시간 몰입의 법칙 p268
15. 헝가리 현상 p291
16. 지식의 최전선 p308
17. 몰입적 사고
아무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주어진 문제에 대해서 1초도 쉬지 않고
연속해서 생각하는 문제 해결 방식이다.
STEP4: 마무리하며
소망하고 추가하는 것을 실현시키는 몰입적 사고
공부 자체를 즐겨야 상위 1%도 되고 천재도 될 수 있다.
지금 해야 하는 일, 해야 하는 공부를 세상에서 가장 숭고한 목표로 만들어라.
그러면 삶을 채우고 있는 모든 순간이 행복해질 것이다.
지금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것은 사고력과 창의력을 가진 열정적인 인재다.
몰입은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
생각 자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 허상이지만
집중할수록 눈에 보이는 성과가 되어 나온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생각을 자신만의 참신한 아이디어로 만드는 것은
이제 당신이 얼마나 몰입하느냐에 달려 있다.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고 몰입에 이르는 단계를 하나씩 실천한다면
누구든 성공과 행복을 동시에 거머쥘 수 있다.
~끝~
어제보다
한걸음 더 성장하는 오늘을 살아가며
2024년 9월 3일 화요일
바다유리/한국에서
댓글
바다유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