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눔을 실천하는 투자자
록키록키입니다.
신도시 투자 기초반 강의를
처음 수강하게 됐는데,
개인적으론 정말 유익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강의 들어가면서
첫 번째 질문이 이렇습니다.
'여러분이 2015년으로 돌아간다면,
무엇을 할건가요?'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는 질문에
당황하고 빠른 답을 내놓지 못했던
제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서울 아파트는
2011~2013년 동안 ‘하락~침체’의 장을
겪은 후 2015년부터
전세가만 무섭게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몇 년 동안 오르지 않은 매매가 때문에
매수 심리가 활발하지 않았을 것이며,
투자금 범위에서 가장 좋은 자산을 담는 게
최선의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자산은 누구나 갖고 싶어 합니다.
투자 기회도 생각보다 길지 않을 것입니다.
잠실 리센츠는 2015년 07월~2016년 3월에
6개월 정도 투자 기회를 줬다가 매매가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이렇듯, 서울 요지의 좋은 아파트 매매가는
반등장에서는 빠르게 상승해서
더 이상 투자하기에
충분한 안전 마진 보장 받지 못하게 됩니다.
그럼, 이럴 때 투자를 그만둬야 할까요?
답은 ‘아닙니다!’
신도시에 아직 기회가 남았습니다.
이럴 때 가치 대비 가격이
여전히 싼 경기도 1기 신도시에서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주우이 멘토님은
이런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이번 신투기 강의에
많이 담아주셨습니다.
특히 투자금이 많지 않아서
지방 중소도시를 가야 할 지를
고민하시는 분들은
신도시도 함께 검토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멘토님의 가이드는 이렇습니다.
5천만원 이하: 1기, 2기 신도시 등 수도권 투자 / 지방 중소도시 투자
5천~1억 : 수도권 강남 1시간 거리 지역 투자 / 지방 광역시 투자
1억 이상 : 서울 투자 / 수도권 핵심지역 투자
단지 별로 투자금 상황이 다르겠지만,
무조건 지방 투자를 우선하는 건
수도권의 더 좋은 투자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다음 신투기 강의를 꼭 한 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년 뒤 목표]
3년 뒤,
저는 다주택 투자자(현재+3채)가 되어 있으며,
기존 자산의 전세 상승분과 모은 투자금을
합쳐서 다음 투자 기회를 찾아 나서는
사람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장성]
2024년초 처럼 '서울이냐? 지방이냐'와 같은 고민에
더 이상 빠져 있지 않은 훈련된 투자자로 성장했을 것입니다.
신투기 3기 2반!
모두 화이팅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