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
새신부 더키도너츠 입니다 !
3주차는 사실 가본적이 없는 C지역분석 강의 였습니다 !
하지만 아는 분도 살고 계셨기 때문에 특정 선호동으로 얘기도 나눴었는데
앞으로 이 지역에 관해서 더 자세히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더 공급의 중요성
수도권도 그렇지만, 지방은 다시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방은 더더욱 공급의 중요성이 크다는 걸 다시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왜 미분양이 났는지에 대한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미분양을 통해 어떤 것을 생각해볼 수 있었는지에 대해 생각 넓히기가 될 수 있어 좋았습니다.
단순히 미분양이 난 것이 집값이 계속해서 떨어져서 그런건가? 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입지가 안좋은가?
분양가가 비싼가?
물량자체가 많은가?
매수심리가 사라졌나?
와 같은 부분들을 생각해 보고 적용해 보는 것이 참 좋았고,
그로 인해 C지역에서 왜 미분양이 났는지 같이 알아가는 과정이 어려우면서도 흥미로웠습니다.
또 아직은 어려운 재개발과 재건축 관련된 부분도 , 자세히는 아니지만 어떤 부분을 알아야 하는지도 말씀해주셨습니다.
공급의 경우는 단순히 갯수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디에 얼만큼의 공급이 있는건지 중요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지도에 올려서 보여주시는 부분이 직관적으로 보기 좋았고, 추후에 미분양이나 청약과 같은 것들을 볼 때도
지도에 올려서 파악하기 쉽게 어떤 특징을 가진 생활권에 이런 공급이 있는지를 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시세트래킹
폼은 있는데... 그래서 어떤걸 시세트래킹 단지로 넣어야하지..?
매번 임보를 쓰면서 시세트래킹 단지를 뽑는 것은 항상 고민이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단순히 랜드마크와, 내가 궁금해 하는 단지들만 선정해서 해야하는 걸까?
아니면 나는 아직 앞마당이 많이 없으니 대부분의 단지들을 다 트래킹해야할까?
그래서 트래킹 했는데 이걸 뭐 어떻게 써야하는거지?
트래킹 하는 단지 내에서만 투자를 하는게 맞는건가?
등등 무수히 많은 고민들이 됐었는데, 이번 시간에 그 고민을 타파했던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트래킹 단지 선정 !
1. ㄹㄷㅁㅋ
2. ㅅㅎㄱ ㄷㅈ(ㄷㅈ / ㄱㅅㄷㅈ)
이 단지들을 어떻게 찾는지부터 어떻게 정리해서 뽑는지까지 다 보여주셨습니다 :-)
앞마당이 많아질 수록 당연히 단지수는 조정을 해야겠지만
아직 없는 저는 일단 이 방식대로 넣을 수 있는 만큼은 넣어야겠다라고 방향성이 잡혔습니다 ㅎㅎ
그리고,
시세트래킹을 하는 방법 !
매주 내가 시세트래킹해야할 것들을 정리한다.
예를들어 24평의 계단식 단지들 정리 ! 이렇게 정해서 하기 (feat. 젊은우리튜터님 폼)
트래킹 할 때 눈에 띄게 변화가 있는 곳이 있다면 거긴 ㅈㅅ조사 들어간다.
전체적으로 확인 후 다시 한 번 투자 범위에 들어오는 단지들이 있는지 유심히 볼 것.
단순히 트래킹 하는 단지들을 투자하기 위함이 아니라 그 지역의 흐름을 파악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면 좀 더 내 투자범위에 들어오는 것들을 고르기 위해 그 지역을 대표하는 단지들을 뽑은 것이라는 것을
이제서야 확실하게 알게 되었다... 늦게도 알았지만 지금이라도 알게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많은 일들이 있었던 3주차였지만,
그래도 이번주차도 해낼 수 있었던건 같이 하고 있는 동료들이 있고,
환경이 있고, 응원해주는 내 가족이 있기 때문이였던 것 같습니다 !
4주차도 이번주 처럼 화이팅 !!!!
댓글
더키도너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