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미래의 나를 꿈꾸며 오늘도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미래의나를 입니다>.<ㅎㅎㅎ
이번 2강에서 다룬 지역은 제가 앞마당을 3개나 갖고있는 광역시이고,
그렇게 해당 지역을 임장하는 과정 속에서 제가 품었던 의문들을 최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같이 해결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머릿속에서 정리가 쏙쏙 되도록 잘 정리해서 강의해주신 게리롱 튜터님 감사합니다!♡
오늘 강의 후기에서는 배운 내용들 중에서도 제일 남기고 싶은 3가지 정도만 남겨보려고 합니다.
인구가 감소한다고 해서 반드시 가격하락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우리가 선호도 파악을 면밀하게 해야 할 이유이다.
어떤 지역에 어떤 생활권에 어느 정도 선호도의 단지까지 투자할지 투자 범위를 잘 설정해야 한다!
2. 부산이라는 지역의 특성, 수도권>광역시>중소도시.
광역시는 수도권의 성격을 가질까? 지방의 성격을 가질까?
그 중에서도 부산은 땅의 가치가 클까? 연식이나 환경, 신축브랜드 상품성이 더 중요할까?에 대한 고민.
교대역 역세권에 위치한 준구축 단지와 외곽초신축 단지의 가격차이를 통해서
지방도 지방나름이구나~ 광역시는 땅의 가치, 입지>연식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달음.
3. 부산에서의 투자범위, 구축의 범위
댓글
미래의나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