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구매와 RP 구매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지금 미국 채권을 구매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동시에 친구가 잔여 달러를 rp에 넣어두고 있으라는 말을 해줘서 rp에 넣어두는 중입니다. 

여기서 채권으로 구입할꺼면 그냥 rp에 넣어놔도 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면서 둘의 차이와 수익률의 차이도 궁금해졌습니다. 🙇‍♂️🙇‍♂️

 

+ 미래에셋증권에서 미국 채권을 구입하는 방법과 미국 채권을 etf로 구매하는 것의 장단점을 아시는 분들도 답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user-avatar
젴크크user-level-chip
25. 01. 17. 18:34

1. 미국 채권 vs RP: 주요 차이점 미국 채권 - 정의 : 미국 정부나 기업이 발행한 채권으로,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지급. - 특징들 ㄴ수익: 고정된 표면금리(쿠폰 금리) 또는 할인 발행된 가격 대비 만기 시 차익. ㄴ리스크: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 변동. 발행기관의 신용 위험(국채는 거의 없음). ㄴ만기: 몇 년 단위로 고정, 만기 전에 현금화하려면 매도해야 함. RP (환매조건부채권) - 정의: 금융사가 보유한 채권을 담보로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맡기고 약정 수익을 받는 단기 투자 상품. - 특징들 ㄴ수익: 약정된 이자율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 ㄴ리스크: 금융사 리스크는 있으나 매우 낮음. 금리 변동에 민감하지 않음. ㄴ유동성: 짧은 만기(1일~1주일 등)로 필요 시 쉽게 해지 가능. 2. 수익률 비교 - RP: 현재 미국 금리가 높아 RP 이자율도 높게 책정(보통 4~5%대). 단기적이고 안정적. - 미국 채권: 장기 채권일 경우 표면금리 외에도 금리 하락 시 채권 가격 상승으로 추가 수익 가능. 금리가 더 이상 크게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지금 채권을 매수해 금리 하락 시 차익을 노릴 수 있음. 하지만 만기 이전에 금리가 더 오르면 채권 가격은 하락 위험. 3. 결론 안정성과 유동성을 중시하면 RP가 적합. 장기적으로 금리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 수익을 노린다면 미국 채권 투자 고려 -------- [직구 vs ETF] - 미국 채권 직접 구매 ㄴ장점: 만기까지 보유 시 원금과 이자를 확실히 받을 수 있음. 금리 변동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음(만기 보유 시). ㄴ단점: 최소 매수 금액이 크고, 투자금 고정. 유동성이 낮음(매도 시 시장가 변동 영향). - 미국 채권 ETF 구매 ㄴ장점: 소액으로도 분산투자 가능. 즉시 매도 가능(높은 유동성). 다양한 채권에 간접 투자 가능(단기, 중기, 장기 등). ㄴ단점: ETF 운용 수수료가 발생. 채권 가격이 금리 변동에 따라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음.

user-avatar
책읽는시간user-level-chip
25. 01. 20. 19:29

와.. 미국 채권과 RP의 어려운 구조에 대한 답변을 너무나도 자세히 적어주셨네요.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