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의 주요 특징 3가지
-1. 지방은 서울에 비해서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짧다
중요한 건 ‘지금처럼 단지가 다 싸져있을 때는 선호도 있는 단지가 뭔지를 내가 파악해두고, 선호도 있는 물건을 위주로 먼저 투자하는 게 좋은 시기다’
-2. 지방은 개별시장이다.
내가 많은 지역을 알고있다면, 도시별로 내가 투자처를 고를 수 있기 때문에
내가 아는 지역이 많을수록 내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찾을 수 있다.
-3. 지방은 소액투자가 가능하다.
전세가율이 80%이상정도까지 올라왔을 때, 내가 소액의 투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다면
단기보유해서 매도할 때 돈 벌 수 있다.
지방투자에서 중요한 3가지
-1. 인구수
인구수는 곧 수요 그자체다. 인구가 많은 도시일수록 상승장에서 가격 폭발력이 다르다.
-2. 연식과 입지
지방은 신축 선호도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에서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입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지방에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입지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직장/학군/환경/교통)
*직장: 종사자수(일자리의 양), 500인이상 사업체수(일자리의 질*)
*학군: 학업성취도 높은 중학교와 + 대형학원가가 밀집돼있어야 찐 학군지다.
*환경: 정량적(백화점,대형마트)/정성적*(신규택지, 신축대단지)
*교통: ‘자차’로 주요 일자리까지 가는 시간을 확인
-구별 랜드마크에서 업무지구까지 자차로 이동시간 & 투자하고 싶은 단지가 있을 경우 그 단지 기준으로 이동시간
-3. 공급
지방은 수요와 공급이 정직한 도시다.
→ 지역 전체의 공급물량 확인/구별 공급물량 확인/구체적 입주시기, 위치확인
게리롱님의 1강을 듣고나서,
부산에서 구축인 단지와 입지가 떨어지는데 신축인 단지, 언덕에 있는 단지가 헷갈렸었고,
평소에 ‘부산에서는 나름 지하철 2호선라인을 선호한다고 생각하고있었는데 왜 지방에서는 교통이 중요하지않다고하지?’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부산은 입지도 보는 곳이 맞다’고 말씀하셨고
부산도 입지에 따라 입지 좋은 구축은 투자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해 궁금증이 어느정도 해소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