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부를 수강하시는 모든 선생님들 설 연휴는 잘 보내셨는지요
24년 12월 재테크 강의를 듣고 정신차려 25년부터 신용카드를 사용하지 않은지 첫 1월을 보내고 있는 부린이 입니다.
다름아니라 제가 2월에 적금만기, 예금 만기로 인해 고민이 되어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예금,적금이 2000만원정도 모이게 되었어요
적으면 적은돈이라 할 수 있겠지만 저한테는 참 의미있고 큰 돈이라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제 사정은
내년1월에 전세 2년 만기되어 연장을 할지 새집을 구할지 다른 전세집을 구해야할 상황이에요
현재 사는 집이 언제 재개발될지 모르는 곳이라 개인적으로 다른 전세를 구하기 보다는 연장을하고 싶은 마음이고
제가 사는 지역이 매우 지방이라 집을 사는건 너나위님이 비추라고 하셔서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것도 고민이고 직장이 이쪽이다보니 다른지역은 꿈도 못꾸고 있어요 (이제 배우기 시작하여 집 사는것이 조급한것만 같고 다른지역으로 이사가기에는 턱없는 돈)
이 2000만원을 어떻게 굴리면 좋을까요 ?
광화문님 말씀대로 연금저축과 isa계좌를 활용해보려고 하는데 전부를 넣는것이 좋을지
전세가 어떻게 될지 모르니 그냥 예금으로 묶어두는것이 좋을지,,
우리 월부 선생님들 한마디씩 조언해주신다면 너무너무 감사할거 같아요,,!
댓글
깨꿀이님 안녕하세요. :) 재테크기초반을 들으시고 신용카드 자른 생활을 시작하셨다니!! 너무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 글은 여기보다 주식Talk에 남겨주시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고민하고 도움이 되시고, 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게시글을 주식Talk로 옮겨둘게요. :)) 깨꿀이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2,000만원을 isa계좌나 연금저축에 넣어두는 것도 절세와 돈굴리기에 좋은 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무리하거나 다급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서 잘 지켜나가는 쪽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 응원합니다 깨꿀이님!
깨굴이님 안녕하세요! 제가 만약 그 상황이라면, 2000만원을 한번에 넣기 보다는 전세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니 분할 투자를 진행하면서 상황을 지켜볼 것 같아요! 화이팅입니다!
이 순서로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상황을 보니 내년까지는 거주비용이 월급 안에서 충분히 해결이 되실 것 같습니다. 내년 1월까지 별 다른 부동산 액션을 취하지 않으신다면, 최소 1년정도는 2천만원을 굴리셔야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상황에서 2천만원을 바로 ISA계좌에 전액 넣게 된다면, 물론 손해볼 일은 없습니다. 납입 한 금액 중 비과세 혜택을 받지 않은 원금은 언제든지 출금할 수 있기 때문이죠. 단, 그 2천만원으로 ISA계좌에서 매수한 종목의 수익금은 비과세 혜택 대상이니 인출할 수 없습니다. 손해는 아니지만 2천만원으로 굴려서 얻은 수익은 부동산 투자를 위해 당장 빼서 쓸 수 있는 돈이 안된다는 말입니다. 저라면 이 순서대로 하겠습니다. 1. 2천만원의 종잣돈으로 '일반 주식계좌'에서 '파킹형 ETF'를 매수한다. 2. 매월 받는 월급에서 얼마를 투자금액으로 뺄지 정한다. 3. 매월, 월급에서 뺀 투자금액에 더해 2천만원에서 매월 뺼 투자금액을 정한다. (예) 월급 중 월 50만원을 투자하기로 결정, 2천만원 중 월 50만원을 투자하기로 결정 4. 월 투자금액 중, 얼마를 연금저축계좌로, 얼마를 부동산 종잣돈으로 보낼지 정한다. 5. 4에서 정한대로 매월 월급에서, 그리고 파킹형 ETF를 정해진 금액만큼 매도하여 투자를 진행한다 6. 이렇게 적립식으로 투자하며 부동산 투자(매수)를 준비한다 재테크 기초반도 들으셨으니, 월급에서 투자금을 차곡 차곡 빼시겠죠? 그 가정 하에 순서를 정해보았습니다. 위 순서에서 4~5번 차례에 왔을 때, 이 월 적립 투자를 어떤 계좌에서 할 건지 고민이 되실거같습니다. 여기서 잘 생각해보셔야합니다. 1년 뒤, 부동산을 매수하시게 된다면 지금 가지고 계신 2천만원을 포함, 최대한 많은 현금을 들고 계시는 편이 좋을 겁니다. 여러 절세 계좌가 있겠지만, 연금저축계좌나 IRP계좌에 넣은 돈은 중도 인출이 제한적이므로 많은 돈을 넣으신다면 부동산 매수 타이밍에 아쉬움이 생기실 수 있습니다. 현재 20~30대 이실 것 같다는 추측을 했고,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앞으로 1년동안 1. 월에 30만원 정도를 연금계좌로, 2. 나머지는 일반 주식계좌에서 모으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1년동안 예를 들어 월에 100만원을 투자한다고 가정하여 예상해보면 1년동안 연금저축계좌에는 360만원이 납입되었을 것이고 1년동안 일반주식계좌에는 840만원이 납입되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2천만원에서 투자금액을 뺀 돈정도의 파킹형 ETF를 보유하고 계실겁니다. 연금저축계좌의 360만원은 부동산 투자를 한다고 하더라도 빼지 않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중도 인출을 하게되면 귀찮은 서류 제출도 하셔야하거니와, 360만원이 아쉬운 부동산 투자를 하시게 된다면 차라리 연금담보대출을 통해 투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더 좋다는 생각입니다. 840만원의 투자금은 수익률을 곱한만큼 불어나 있을 것입니다. 이 금액은 주식이나 ETF를 매도하기만 하면 2일안에 인출하여 부동산 매수에 쓸 수 있으니 환금성이 아주 좋은 자산이 됩니다. 나머지 파킹 ETF도 금리 이자수익이 붙어있을테니, 원금보다는 조금 불어나 있을 것입니다. ---- 1년동안 수익률을 예상해보시는 것도 투자 전에 꼭 해보셔야하는데요 일반적인 지수형 ETF라면 5~8%정도의 수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840만원의 투자금은 907만원정도가 되었겠네요. ---- ISA계좌를 활용하여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원금(840만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굴려서 번 수익금은 못쓴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ISA계좌 만기 해지 시점이 내년이 아니라면 일반계좌를 사용하는 방법이 더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움 되셨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