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5/1/23~2/4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서울상승장 #금리인하 #공급부족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서울은 N,W로 상승장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하나 광역시같은 경우 서울과 다른 사이클로 움직이며, 서울이 상승해도 가격이 하락,정체를 보일 수 있고, 이는 지역 경제와 연관이 깊다.
한강 기준 이남지역은 서초구가 상승한 후 그 상승세가 강남 송파 강동구로 퍼져 나가며 하락세일 때는 강남은 덜 하락 하고 송파 강동구 순으로 더 많이 하락 됨.
한강 이북 지역은 마포 노원 등 각각 독특한 지역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 지역은 일자리나 직주 근접성이 떨어지고 자족적인 주거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인접 지역으로의 가격 확산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매매 비중의 점진적인 상승과 매매거래량의 증가는 시장이 정확히 바닥을 지났다는 신호를 보여주며 슈퍼사이클의 문을 열고 있다.
다수의 투자자들이 갭투자가 안정적인 투자라는 신호를 공유하는 순간, 투자 가수요가 촉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 사회는 갭투자를 제한하기 위해서라도 전세제도의 반4전세화 혹은 폐지를 서둘러야 한다.
또한 전세가격이 이처럼 상승하는 경우, 사회적 약자인 전세 세입자의 주거권이 더욱 보호되어야 한다.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상한제) 역시 폐지 되어서는 안 되는데, 4년(=2년+2년)의 계약 기간과 갱신 계약 시 임대료 5% 상한 조건은 선진국의 임대차 계약에 비해서도 아주 낮은 수준의 거래 계약이기 때문이다.
2024년 하반기 동남권 올림픽 파크포레온
2025년부터 3년간 서초구 물량 공급
서울 서쪽 지역 구는 절대적 입주물량 부족한 상황!
가격상승은 대체로 강남에서 시작되며 이는 순차적으로 그 주변으로 상승세가 옮겨간닼
서울시 전체 아파트의 장기적인 누적 상승률을 보면 강남과 강남이 더 클 것 같지만 강북 간 차이가 크지 않다. 그 이유는 강남이 먼저 빠르게 오르면 다음해는 상승폭이 줄어들 수 있고, 강북은 강남에서 상승이 발생한 첫해에는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없을 수 있지만 그 다음해는 급격한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누적 상승률”관점에서 접근해야함.
브랜드의 얼굴 '플래그십 스토어'
플래그십 스토어Flagship store란 브랜드의 정체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대표 매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매장은 제품을 판매하는 장소를 넘어서 브랜드의 철학, 역사, 비전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래그십 스토어는 다음과 같이 일반 매장과 구분되는 몇 가지 차이점을 갖고 있다.
①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집약
② 독특한 쇼핑 경험 제공
③ 한정판 및 특별 상품
④문화 및 예술과의 결합
: 2025년도 부동산의 전반적인 트렌드를 서울 주요 단지들을 예시로 상승전망에 대해 정리되어 있어 유용했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 기존의 상권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에 대한 부분을 보며 앞으로 내 사업에 적용할 부분들은 없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최근 고민 중인 K컬처를 내 사업과 접목해 어떻게 디자인하고 펼쳐나갈 지 고민해 봐야겠다. 더불어 단지 전통적인 디자인보다 이를 현대와 어떤 식으로 접목해 풀어가야 할지 외국인들은 우리나라의 어떤 소품들을 좋아할 지 다른 책과 이 책에 나온 팝업스토어들을 돌며 아이디어를 얻어야겠다.
: 아직 투자금이 적어서 지방광역시를 임장하며 보고 있지만 이미 투자를 하신 분들에게 올해 서울 상승장은 상당한 기회를 줄 것이다.
지방투자 성공해서 나는 상승장 뒤에 올 하락장을 이용해 서울 수도권에 투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지만 서울과 수도권의 주기는 비교적 긴데 다가올 상승장이 어떻게 전개되어 갈 지 지켜보며 지방과 수도권 임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겠다.
P 260-261
: 소유 아파트 단지에 대한 재산세 부분에 대해
추후 변동가능성, 종부세 폐지 가능성을 바라보는 입장
서울 상승장이 시작된 이 시점에서 투자자로서
지방투자를 먼저 해야하는데 지방투자 시장에 대한 트렌드도 궁금하다.
: 부동산 세금트렌드2025(제네시스 박)
시장을 이기는 부동산 투자원칙(김제경)
댓글
마롤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