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태기 5조 128조 여름은] 통장쪼개기 만으로 3월 가계부가 기대된다!

 

1단계 :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1. 강의에서 언급한 지출 종류별로 ‘지금은 대략 얼마 정도 쓸 것이다’ 대략 작성해보기
  2. 내가 지난 달 실제로 쓴 금액을 카드 내역서나 통장 내역을 보고 지출 종류별로 합계 내보기
  3. 앞으로 지출 종류별 목표 금액 설정해보기

    → 신혼 1년차, 남편과 1~3번 과정을 거치고 주말에 토론 끝에 조율할 수 있는 부분에서 1차로 항목별 목표 금액을 정했다. 항목별로 누가 담당하며 어떤 계좌에서 나갈 지 정했고, 이렇게 통장쪼개기 후 가계부를 점검하는 건 결혼 이후 처음이라 3개월 정도 과도기를 가지며 조율해보며 업그레이드 해나가기로 결정했다.

    1. 생활비 (비고정/고정 2개 통장으로 구분): 고정 생활비 (주거 & 차량 & 의료, 보험비) / 비고정 생활비 (식비)  
    2. 활동비 (본인, 배우자 각각 사용 합산) 
    3. 주거비 
    4. 교육비 (본인, 배우자 각각 사용 합산) 
    5. 비정기 


 

2단계 : 각 항목별 통장 계좌를 정하고 연결할 체크카드 발급하기

 

  1. 한 번에 여러 개 통장 만들기 어려우므로 기존 보유한 계좌를 활용하거나 
    하루에 1개 정도 만들어서 필요한 계좌 확보하기
  2. 통장별 필요한 체크카드 발급 신청하기


→ 항목별로 어느 통장, 어떤 체크 카드 (남편은 신용카드 유지)로 쓸지 결정했다. 체크카드 발급 후 수령 기간이 있기도 하고, 카드 할부금 및 이번 달 납입 금액이 있어 재테크 셋팅을 마친 후 3월 소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해보고 정산 후 수정할 예정이다. 이것 만으로 두근두근! 어디에 돈을 썼는지, 다음부턴 뭘 주의해야 할 지 파악할 수 있을 듯 싶어 기대된다! 
 

3단계 : 체크카드에 용도를 네임펜으로 써주고 인증샷 남기기

 

  1. 기존 갖고 있던 신용카드를 자른 인증샷 촬영하기 (BEST)
  2. 각 통장별 연결한 체크카드에 용도를 네임펜으로 써주고 모아서 인증샷 찍기
     

 

이번에 강의 듣고 나서 변화는 배우자랑 할 이야기들이 많아졌다는 거에요! 
저도 이거 하면서 우리 이 정도로 될까? 이건 이렇게 해서 돈 쓰는 걸 줄이는 건 어때? 
오늘은 집에서 먹을까? 소소한 대화들이 늘어나는 게 느껴지더라구요 ㅎㅎㅎ 

남편도 앞으로 미래가 그려지며 기대된다! 응원해줬어요 ㅎㅎ (배우자는 이미 재태크 투자 지식이 저보다 앞서나간 편, 다만 신혼 1년차라 통장합치기는 보류중입니다) 용도별로 어떻게 나누고, 연금저축을 각각 얼마나 들지 등등 ㅎㅎ 

 

배우자가 저의 변화를 응원해준다는 게 감동이에요~ 
강의 시작한 지 이제 5일 째인데 벌써 변화가 느껴져서 좋습니다:) 


댓글


여름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