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마중15기 43조 송보라] 1주차 강의복기 및 후기

 

1주차 강의 복기차원에서 메모한 것 중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점 위주로 정리하고

제 생각과 달랐거나, 새로이 알게된 점으로 1주차 강의 후기 마무리 합니다.

 


 

1주택의 적절한 범위

  • 서울 수도권 : 서울 1시간 내 접근가능한 신축 & 환경양호 구축
  • 서울 경기 상급지 : 평촌, 수지, 광명, 구리, 하남, 성남, 하남 이상의 신축 또는 환경양호 구축
  • 광역시 : 입지와 상품성 모두 뛰어난 신축, 최상급 신축

      인천,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은 신축과 최상급지 구축

  • 지방 중소도시: 도시가 젋으며, 입지와 상품성 모두 뛰어난 선호신축, 차선호 신축

 

내집마련의 기준

내집마련의 기준가격전고점 대비 15 ~ 20% 하락한 가격
대상사람들이 몰리는 지역 내 선호도가 높은 것
방법1단계현재종잣돈 파악종잣돈 + 현재 나의 전세금 - 임차보증금
2단계후보지 물색
  • 지역별 매매, 전세-매매, 전세 시세 파악
  • 종잣돈 + 1억 이내 매매-전세 확인

     *1억은 대출아니고 네고를 뜻함

  • 전용 84 이하 시세표 모두 작성(구별로)
  • 단지 리스트 정리 (네이버부동산 필터 활용)
3단계매수여부 결정
  • 매수 가능 단지 임장 (실제 그 가격으로 살 수 있는지 확인)
4단계매수 및 임대세가 들어있는 물건을 구입하면 상대적으로 전세입자 구할부담 낮음

 

위험한 녀석반등폭이 큰 아파트, 상급지일부 준신축 이상
유리한 녀석전고점 대비 반등폭이 작은 것 (전고점이 높은 녀석이 가치가 높음)

 

거주와 보유 분리 실전표

공급면적복도, 계단 등 공용으로 사용하는 면적까지 모두 한한 것 

전고점이 높은단지가 하락률이 높으면

 ‘기회’

전용면적내가 거주하고 있는 곳만 계산 
평형공급면적 X 3.3㎡ 
전고점

2021.01.01. ~ 2022. 12.31 사이 가장 높게 찍힌 가격

최고 실거래가 3~4건을 같이 본다(급매인지 아닌지 확인)

* 실거래가 기준

* 4층 이상의 물건

전저점2021.01.01 이 후 가장 낮게 찍힌 가격
  • 거주-보유 분리 실전표 작성은 하루 2시간씩 부동산계약서 찍을 때까지 매일 해야된다.
  • 갑자기 너무 낮은 전세가를 보았다면, 그건 계약갱신청구권을 썼을 가능성이 있다

    (확인필요, 부동산사장님 전화)

  • 가격 업데이트를 하면서 전세가 올랐네 내렸네, 내가 세입자라면 이 가격에 전세를 살까 고민해봐야함.
  • 리스트 정렬 및 필더 > 숫자 필터 > 사용자지정 자동필터 + 300세대 이상 소팅
  • 전고점 내림차순시 20, 30평대 섞여있으므로 따로 봐야 함

 

전세끼고 사는 것에 리스크

잔금일정까지 전세를 못구하면?

세입자 승계물건 or 신용대출 일부 활용 등 잔금 대비만이 답

 

2년 후 전세만기 때, 전세가 하락하면?

J-PIR 내 소득에 비해서 전세가가 적정한지, 아닌지 객관적으로 파악 / 현재 전세가격에 대한 적정성 판단필요

 

전세끼고 매매 리스크 결론: 전세가에 대한 대비가 내 스스로 되는지, 되지 않는지 반드시 고려하여 물건 선택해야.

 

 

전세가 방향의 영향을 주는 요소 3가지

  1. 공급 (입주물량)
  2. 금리 (전세대출)
  3. 가격 (낮으면 상방, 높으면 하방)

J-PIR 10  : 내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모은 금액

수도권 15년간 평균 J-PIR 6.9. (6년 9개월간 내 소득을 하나도 쓰지 않고 모아야 전세를 살 수 있음)

현재 J-PIR: 5.4 (즉 지금은 평균보다 낮으므로 전세가가 싸다는 결론)

 

현장에서 좋은단지 찾는 방법

  1. 임장프로세스

    사전준비

    지역임장

    아파트임장

    매물임장

    • 네이버지도&카카오맵 지적편집도 활용
    • 택지, 상업, 공업, 지하철역 등 상권 미리 파악
    • 루트정리 

    환경, 교통 등 분위기파악

    • 거주민상권여부 및 종류 파악
    • 지형
    • 유해시설
    • 사람들연령대, 모습 관찰

    아파트단지 내외부 파악

    • 단지내부 : 조동거리, 조경, 아파트관리, 지하주차장
    • 단지외부: 안정성(초등학교, 지하철), 지형, 주변환경(인도, 차도, 바리케이트 등등)
    가장 마음에드는 단지매물

 


 

내가 생각한 것과 달라던 점, 새로이 알게 된 것

아파트는 무조건 장기적 우상향?

NO :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입지가 우수하지 못한 구축아파트는 선택받지 못할 것

서울: 가격 먼저 / 지방: 대상 먼저 (포커싱이 다름)

 

나는 무조건 거주-보유 분리가 낫지 않을까?

NO: 종잣돈은 적은데, 소득이 높을 경우 실거주 전략이 나을 수도 있다.

예시1 ) 종잣돈 1억 5천 / 소득 800(600저축) 시

600만원 ⅔인 400만원 대출 원리금 상환가정시, 6-7억대 대출 가능 > 실거주 유리

예시2) 종잣돈 2억(애매한 종잣돈) 광역시 6억이상, 전용84, 2015년식↑ 으로 실거주가 유리할 수 있다

왜냐면 서울 4급지에 2억으로 거주-보유분리가 가능한 좋은물건을 구하는것이 힘들기 때문에.

거주-보유는 내가 좋은물건을 미리 사둔다의 개념이므로, 실거주가 나을 수 있다.

 

사람들은 조용하고 깨끗한 곳을 더 선호하지 않을까?

NO: 사람들은 복잡한 곳을 더 선호한다

 

전세놓고 매매했는데, 내가 들어가서 살고 싶으면?

전세반환대출 이용해서 세입자를 내보내고 입주 가능


댓글


송보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