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도에 지인부탁으로 시작된 “변액유니버셜보험” 2건이 있어요.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이번에 재테크기초반 들으면서 너나위님의 “변액~ 붙은건 하지마라"는 식의 말씀이 강의 중에 잠깐 있었거든요.
매달 40만원씩 들어가는데 한참 손실이었을때도 있었지만 현재는 원금회복하고 이익 조금 붙었어요. 2건 계약, 각 20만원씩 넣으면 포트폴리오 내가 짜서 변경가능한 상품이구요, 제법 납입한 기간이 돼서 적립액도 제 기준에서는 목돈이 되었는데 계속 유지해야할지, 해지해야 할지를 모르겠네요.
강의 들으면서는 해지해야지 했었는데
지금보니 일시납 연금으로도 받을수 있고
다른 형태로도 전환가능한거라 고민됩니다.
이번에 증권계좌 개설도 했는데 이쪽으로 옮겨와야 하는지, 옮겨온다면 어떻게 운영해야할지도 모르겠어요.
해지하고 옮겨오면 큰돈인데 연금저축계좌? ISA ??
처음 각오와 달리 통장쪼개기말고는 판단 실행력이 매우 부족한 주린이입니다ㅠ
잘 아시는 분들의 조언을 구해요.
검토해봐 주시길 바라며 1건의 정보를
사진 첨부해봅니다.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려요^^
20250301_220829.jpg
댓글
💡나위님께서 변액 관련 상품 해지 얘기를 하신 이유는 "변액"이 붙은 상품은 장기적으로 사업비, 보장 비용이 크므로 해지 후 직접 운용하는 것이 더 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챗지피티에게 사진을 주며 상태 분석을 요구했더니 다음과 같이 말하네요 🔍 현재 보험 상태 분석 1. 적립액 (계약자적립액): - 현재 33,894,386원 (원금 31,000,000원)으로 누적수익률 9.34% - 연평균 수익률 0.70%로, 매우 낮은 수준 - 과거 손실 구간이 있었으나 현재는 원금 회복 및 일부 수익 실현 2. 비용 구조: - 사업비, 보장 비용으로 총 12.3% (3,811,300원) 차감 - 위험보험료로 0.25% (78,115원) 차감 - 매월 40만 원 납입 중이므로 장기적으로 누적 비용 부담 큼 3. 연금 전환 가능 여부: - 현재 계약 상태에서 일시납 연금 전환 가능 - 하지만 연금 전환 시 기대 수익률이 낮을 가능성이 높음 즉, 듣기에 고통스럽겠지만, 썩 좋은 상품이 아니라는 결론입니다. 해지 하게 될 경우 다음 장점을 기대하고 해지하게 될 것입니다. - 현재 연평균 수익률이 0.7%로 매우 낮음 → 직접 투자 시 수익률 개선 가능 - 다른 금융 상품으로 옮기면 더 나은 운용 가능 (연금저축, ISA, ETF 등) --- 해지할 때 다음 것들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1. 해약 공제 금액이 없는지 일부 상품들은 해약 공제가 있을 수 있어서 해지시 돈을 뜯어가는데, 그게 없는게 제일 좋겠네요. 2. 내가 모르는 세제혜택이 있는 상품인지 조건부 비과세 같은게 있을 수 있는데, 한번 체크해보셔야겠어요. 개인적으로는 해약 공제 금액이 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ISA, 연금저축계좌 등 개인 절세계좌로 옮겨 운용하시는게 훨씬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지인들 믿고 가입 하더라도 변액 상품들은 좀 안좋은 경우가 많더라구요. --- ISA계좌와 연금저축계좌를 계획하다 보면 머리가 아픈데요. 다음과 같이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1. ISA계좌 = 여기 넣는 돈은 3년 후 나에게 준다 + 이건 내 종잣돈이 된다. ISA계좌는 3년 만기 해지이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기간 유지를 하게 됩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부동산 매수, 병원비 등 큰 돈이 나갈 일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중도인출이 자유로운 ISA 계좌에 일부 비용을 넣을 필요가 있습니다. 2. 연금저축 계좌 = 여기 넣는 돈은 55세 이후 나에게 준다 + 연말정산 챙긴다 연금저축계좌에 넣는 돈은 강력한 과세이연효과도 있고 연말정산 환급금도 더 생기지만 55세 전까지 인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월 고정수입이 많지 않다면, 1년에 300~600만원정도까지만 납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액공제 한도인 600까지 채우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너무 많은 내 종잣돈을 전부 넣어버리면 안되겠죠. 내가 종잣돈으로 쓸 생각이 있는 돈은 연금저축계좌보다는 ISA계좌로 넣는 편이 좋습니다. 3. 일반 주식 계좌(혹은 파킹, 예금, CMA 등) = 언제든지 쓸 수 있는 상태로 보관한다 절세혜택은 없지만, 자유롭게 수익금까지 인출할 수 있는 면에서 일반 주식 계좌도 장점이 있습니다. 1~3에 내 상황과 계획을 고려한 월 납입금을 계산해보시는게 좋겠네요
보험 진2& 쩌 골치 아프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