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똑똑하게 투자하는 우리. 똑구리 입니다.
이번 4강을 통해 주우니님의 투자 과정을 그대로 배울수 있었습니다.
단지선정, 매임방법, 부동산 방문등 많은 부분에 대해서 정리하는 시간이였습니다.
느낀점
- 예전에도 이런 상승과 하락장을 계속 왔다갔다 했다. 최근 3개월 사이에 왔다갔다 하는건 전체 투자기간을 봤을때는 당연한 것일수 있다. 너무 짧게만 보고 조급해 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고 손 놓고 지켜 본다고 답이 나오지 않는다.
- 구축의 경우 용적률에 따라 사업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가격이 다른 구축에 비해 높다면 용적률을 한번 확인해 봐야 한다.
- 재개발 단지들이 많은 곳의 주변 단지들의 주의 깊게 봐야 한다. 재개발이 되는 곳에서는 이주수요가 발생 한다는걸 알 수 있었다.변화한 지역으로 변화될 지역의 변화를 상상하며 보는 것이 중요.
- 임장 지역의 모습을 상상할 때는 강남구을 기준으로 비교해서 어느정도 인구 구조를 갖고 있나 비교해 보면 모습을 그려보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 급지보다는 선호도가 높은 생활권의 단지를 신축 또는 구축을 고민 하기 보다는 사람들의 수요가 어디에 몰리는지 확인 해야 하며, 그런 단지에 투자 해야 한다.
- 변화하는 시장에서 후회하지 않는 투자란 시장 분위기에 따라 왔다 갔다 하는게 아니라 가치대비 싼 물건에 투자를 해야 한다. 시장 흐름이 어떻게 흐르던지 대응만 할 수 있으면 된다.
- 생활권 우선 순위를 정하고 거기에 따라 단지별 가격을 비교해서 저평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생활권별 순위가 어려우면 랜드마크 단지의 가격을 확인 해야 겠다. 그걸 다시 내 앞마당별 비교를 통해 더욱더 넓게 봐야 한다.
- 평형보다는 상급지/생활권 선호도에 따라 상승여력이 더 크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곳을 우선으로 봐한다. 하지만 서울 이라는 이유만으로 서울에 투자 하면 안된다.
적용할점
가격에 익숙해 지기 위해서는 매일 10분 시세 보기
의문점 정리하여 매일 부동산 한곳 전화 하기
각 앞마당 20개씩(랜드마크 포함) 시세트레킹 하기-가격 및 갯수 확인
생활권별/지역별 단지 비교해서 우선 순위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