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강 : 하락장 지방투자로 10억 버는 방법
- 이렇게 가면 목적지에 도착한다는 확신
- 어디로/어떻게 가야하는지 알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 실전 투자자의 투자 루틴과 습관을 배우고, 행동으로 실행
1 차시 : 2025년 현재 지방투자로 돈 벌 수 있는 이유
- 인구 = 수요의 크기
- 가수요가 얇기 때문에 전세가의 움직임에 따라 매매가도 같이 움직임 => 전세가가 시장 상황을 리드.
- 지방 총정리 => 지방투자를 하기 너무 좋은 시기
- 싸다
- 적은 투자금
- 낮은 리스크
- 투자에 있어서 최고의 악재는 비싼 가격
- 전세 레버리지 투자의 가장 큰 리스크는 역전세 => 전세가가 10년전 가격
2, 3 차시 : 지방투자 방향성, 지방 도시 선호도와 특징
- 수도권 투자 VS 지방투자
- 수도권 : 전세가가 하락해도 전저점 만큼 빠지지는 않음 => 매매/전세 모두 장기적 우상향
- 지방 : 낡으면 선호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이전 가격을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적절한 시기에 매도
- 수도권
- 수도권은 같은 사이클
- 안정적으로 보유하며, 전세상승 + 시세차익
- 중장기간 보유하며 월급전세상승분으로 재투자
- 지방투자
- 5년 내외 매도
- 개별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지역
- 적은 투자금으로 가능, 대부분 시세차익
- 매도 및 갈아타기
- 가치성장투자
- 지역내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을
- 쌀때 매수하여
- 중장기 보유로
- 큰 시세차익
- 소액투자
- 가치대비 저평가된 곳을
- 가격이 싸고 투자금이 적을 때 매수하여
- 중단기 보유로
- 좋은 수익률
- 지방 소액투자시 주의할 점
- 21년 상승장에 전전고점을 못 넘은 단지
- 매매/전세가 딱 붙어서 움직이는 단지
- 선호도가 떨어지는 단지
4 차시 : 투자 의사결정과정 3단계
- 가격 결정요소 찾는법
- 분위기 임장 : 생활권별 특징 정리
- 단지 임장 : 생활권별 선호요소 찾기
- 시세지도 : 선호요소를 가격과 연결 => 생활권 내 단지 비교 / 생활권별 대표단지 비교
- 지방 아파트 가격 결정요소 우선순위
- 지방투자 의사결정과정 3단계
- 1. 저평가 : 가치 있는 단지 중 가격이 싼 것
- 2. 투자금 : 적은 투자금이 드는 곳
- 3. 리스크 : 잔금 가능 범위에 들어오고 역전세 가능성이 적거나, 대응이 가능한 것
- 반드시, 위 1→2→3순위 순서대로 의사결정
- 투자 결정
- 저평가 : 가치 있으면서 가격이 싸고
- 투자금 : 적은 투자금을 들여
- 리스크 : 잔금 가능한 가격이고, 역전세 가능성이 적거나 대응 가능한 것.
- 반드시, 의사결정과정 3단계로 투자 결정
5 차시 : 지방투자자의 투자 로드맵
- 로드맵이 필요한 이유
- 명확한 목표와 방향성이 없다면 투자를 해도, 집 값이 올라도 헤매게 됨.
- 로드맵 가이드
- 매도 의사결정 기준
- 수익이 났을 때 => 기다림, 매도 기준 확립이 필요
- 포트폴리오,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탈 수 있을 때 => 투자는 실력이 돈을 버는 영역
-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려울 때 => 대응 또는 매도
- 매도 후, 갈아타기에 정확한 시점은 없다. 다만, 저평가된 갈아탈 단지를 얼마나 알고 있느냐에 따라 그 결과물은 달라진다. => 실력이 있다면 언제나 기회는 있다.
- 지방 실전반 200% 활용법
- 실전반이 처음인 수강생
- 시세트래킹도, 임보 결론도 제대로 해본 적 없는 내가
- 다들 척척해내는데 나만 못하는 것 같아
- 주변 환경이 어려워
- 하지만, 위 고민들은 나를 앞으로 나아가게 해 주지 않는다.
- 오늘 이 시간 이후로 걱정 대신 [행동]을 한다.
- 이번 실전반에서 실천할 행동 세가지
- 1) 어떻게 하면 될까? 말하기
- 2) 질문하기 (질문자의 사고과정을 포함하여 질문하기)
- 좋은 질문은
-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니라 과정에 대한 답을 얻어야 => 실전반이 끝난 다음,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게 됨.
- 내 생각 / 근거 / 질문
- 3) 나누기 (꾸준히 일정한 결과물을 쌓아가는 데, 조 활동과 나눔활동이 가장 큰 도움 됨)
- 감사일기 댓글
- 톡방 응원
- 적극적으로 질문하는 자세 (모두의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