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기 27기 4근한 날씨에 우리ㄹ6 대구 임장가조 온니원]1주차 임장보고서

1주차 강의후기를 남겨봅니다. 

 

서울을 제외한 지방도시 매매가 하락, 전세가역시 보합, 하락한 지역이 많음.

지방에서 수요가 있는 지역을 알기 위해서 가장중요한 것은 인구수이다.

각 지방의 지역내에서 각각의 선호도 구성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지역을 분석하면서 그것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방에서의 수요가 있는 지역은 입지가 좋거나, 연식이 좋아야 한다.

지방은 출퇴근 시간이 짧기 때문에 주요업무지구가 가깝지 않아도 충분치 자차로 출퇴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지가 좋거나, 상품성이 좋아야 한다.

 

결국, 수요가 많은 지역도 비싸다면 투자를 해서는 않되고, 지방은 땅의 가치가 없기때문에 구축투자는 주의해야 한다.

지역별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선호도를 고려해야함. 커뮤니티 형성에 따라서도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다.

 

지방투자의 핵심

  1. 인구수: 인구수가 많을수록 공급물량을 소화할수 있는 인구가 많다는 것이고 이것이 곧 수요와 연결된다.
  2. 입지: 지방은 빈땅이 많기 때문에 신축아파트를 짓는 것이 수월하다. 투자범위를 좁혀 투지해야함. 땅의 힘이 크지 않고 입지독점성이 떨어짐.

    일부 학군지와 같은 곳은 땅의 가치가 있다. 지방중소도시같이 학군의 힘이 크지 않은 곳은 땅의 가치가 낮다.

    #특정학교를 보낼수 있는 단지나, 지방의 전통적인 부촌 같은 경우는 입지의 가치가 있다.

      압도적이지는 앟지만 직장, 환경, 학군이 종합적으로 좋은단지도 있다.

  3. 상품성 : 지방투자는 상품성이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줌.

    지방의 선호도는 입지(학군, 환경, 커뮤니티)와 상품성(연식, 브랜드, 택지)로 볼수 있다.

    가장 선호도가 높다는 것은 입지와 상품성 둘다를 만족하게 되면 가장 선호도가 높다.

 

 


댓글 2


치리치리뱅뱅user-level-chip
25. 04. 11. 10:46

고생하셨습니다~

라파스피릿user-level-chip
25. 04. 17. 15:12

지방은 인구수가 깡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