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는 외부 정보를 뇌로 보낼지, 차단할지를 결정하는 여과 장치의 역할을 한다. 외부 정보 중 나의 생각과 감정에 부응하는 정보를 보낸다. 때문에 나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긍정적으로 활용하려면 구체적으로 원하는 모습을 입력해야 한다.
내가 ‘무엇을’ 원할지 결정한다. ‘어떻게’ 이룰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목표를 목록으로 만들고 계속해서 보며 상상한다. 무엇을 원하는지 알려면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고, 그 영역에서 인생의 미션을 찾아야 한다.
목표 목록에 등급을 매기고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용어로 명확하게 정한다. 목표는 긍정적이어야 하며, 생생한 이미지로 떠올린다.
목표에 데드라인을 설정하고 심리적으로 감당 가능하도록 잘게 쪼갠다. 데드라인은 현실적이어야 하며, 빠듯해야 하고, 스타트라인을 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남들의 말에 꿈을 포기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타인의 말 중 사실은 사실로 인정하고, 의견에 대해 발언의 권리를 인정한다. 그와는 별개로 목표를 정했다면 시작하고, 성공할 때까지 그만두지 않는다.
현재 나의 상황은 나의 창조물이며 전적으로 나에게 책임이 있다. 나의 RAS에 들어가는 것을 내가 의식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현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선택의 질을 높여야 한다. 과거의 선택과 이유는 중요하지 않으며, 오늘부터 나의 미래를 내가 선택한 생각과 행동들로 만들어가야 한다.
목표를 그림으로 시각화하면 효과가 극대화된다. 목표와 아이디어, 생각은 최대한 생생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긍정형 심상을 만들고, 성공한 모습과 더불어 가능성이 높은 장애와 난관도 함께 상상한다.
확언을 통해 스스로 자아상을 구축하자. 어떤 주장을 지속적으로 접하면 그것을 내면화하게 된다. 이는 실제 행동에 극적인 변화를 만든다.
우리 행동의 80% 이상이 습관으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생산적 가치를 내는 습관들을 길러야 한다. 좋은 습관을 쉽게 형성하는 방법은 나에게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들로 주변을 채우는 것이다.
모든 일은 일정한 비율과 확률로 일어난다. 나의 평균 성공비율을 알아내고 기대값을 생각하며 행동하자.
감정 상태에 따라 몸에 퍼지는 메시지가 달라진다. 따라서 긍정적인 사고와 유머를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느끼는 감정은 나의 선택이다. 웃을 일을 찾기로 선택하고 부정적인 감정은 선택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스스로 걱정과 근심을 통제해야 한다. 내가 원하는 결과만을 생각한다. 기분 나쁜 감정을 인정하되, 제한 시간을 두고 그 이후에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고자 하는 것을 달성한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한다. 그리고 바라는 것이 있다면 구하고, 구하고, 구한다. 계속 구하자. 누군가가 분명 나를 기다리고 있다 → 확률게임!
깨달은 것
목표는 실행에 옮겼을 때 예상과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것이 좋다는 부분이 인상깊었다. 비전보드를 그리면서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인지, 이게 정말 ‘최종’ 목표가 맞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었다. 그러다보니 작성하고 나서 자주 보지 않게 되는게 아쉬웠는데, 목표 목록은 좀 더 부담없으면서도 충분히 동기부여가 될 것 같았다.
RAS에 ‘무엇을’ 입력할지 정하고 ‘어떻게’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 부분이 애매하다고 생각했다. 목표를 정할 때 방법을 생각하지 않고 정하는 것의 긍정적인 부분은 알겠는데, 그 이후에 목표를 쪼개고 구체화해 나가는 어느 시점에서는 방법을 고민해야 하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원하고 바라면 온 우주의 기운이 돕나? 하지만 뒷 장의 구하고, 구하고, 구한다는 부분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그저 혼자 조용히 바라는 것이 아니라 내 스스로 얻을 수 있다고 깊게 믿으며, 주변에 알리고, 성공할 때까지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구하라는 부분이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적용할 것
무엇을 원할지 결정하고, 시각화하기 → 목표 목록을 만들고 이미지로 출력해서 책상 옆에 붙여놓기
좋은 글
(89p) 내가 내 꿈에 겁먹지 않는 한, 지나치게 큰 꿈이란 없다.
(102p)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무엇을 생각할지, 어떻게 반응할지, 어떤 선택을 할지에 대한 통제권은 전적으로 나에게 있다. 내 생각과 반응과 선택들이 나의 다음번 상황을 창조한다. 내 상황을 지휘하는 총 감독은 바로 나다. 사실은 처음부터 그랬다.
(105p) 인생이 마음에 들지 않는가? 선택의 질을 높이자.
(165p) 열정, 자기 존중, 결의, 자신감도 습관이다.
(221p) 죄책감, 민망함, 수치심, 발끈함 같은 감정들은 선택하지 않기로, 그리고 바꿀 수 없는 일에는 분노하지 않기로 결심하자.
(251p) 넘어졌다고 실패하는 것은 아니다. 넘어진 후 일어나지 않아서 실패한다.
(295p) 매사 긍정과 유머로 임하는 정신 자세가 중요하다. 어차피 내 목표고 내 선택이다. 누가 등 떠밀어서 하는 일이 아니다.
(302p) 나는 성공한 소수 그룹의 일원이 되기로 결심했다. 누군가는 반드시 성공한다. 내가 그 중 1명이 되지 말란 법은 없다.
(306p) 오늘부터 내가 내 인생의 모든 것에 100 퍼센트 주도권을 행사하겠다고 작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