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투기 25기 우ㄹ1는 부자될 8자조_리콘] 1주차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투자는 점이 아닌 선

투자후에도 두발 뻗고 잘 수 있어야 진정한 투자 

그러기 위해선 단지의 가치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한동안 전고점대비 하락률에 너무 몰입했었다

그 단지가 가진 가치가 무엇인지 파악하는게 우선이다

 

 

같은 투자금이라도 계획한 전략에 따라 매수 단지가달라진다

매매가 상승이 입기 좋은 구축이냐

전세가 회복과 투자금 회수가 빠른 입지 덜 좋은 신축이냐

투자금 기반 대상 단지가 나오면 어떤 특성을 가진 단지인지 파악하고 과거 서울시장케이스 스터디

성북구에 있는 신축 단지와 동작구에 있는 구축 단지를 비교 

그럼 케이스스터디를 위해서 대상 시기를 언제부터 언제로 잡는 게 좋을까?

 

케이스 스터디를 하기 위해선 현재의 상황이 몇년도의 상황과 유사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강의에서 나온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시기를 특정하자

가치성장투자를 저렴하게 매수하는 관점 (혹은 적절한 가격에 매수하는 관점)

소액투자를 진행했을때 수익을 보는 기간까지의 시간과 수익을 확인해보자

 

1.내가 보는 단지는 가치성장투자로 접근할만한 곳인지 가치성장투자인지 구분하기

2.같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단지중 어떤게 더욱 가치가 좋은지 3개 비교해보기(임보적용)

 

좋은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는 게 평범한 기업을 헐값에 사는 것보다 낫다 찰리 멍거

 

좋은 기업이란 서울 아파트

적당한 가격이란 전 고점 이하의 가격

 

튜터님 생각의 흐름 알아가기

무학 청구와 독립문 극동을 바라 보며 가치는 비슷한데 한 단치가 극단적으로 빠져 있을 때 상승의 흐름이 어디에서 부터 시작 되고 현재 도달 된 곳이 어디까지인지를 파악 퉁쳐서 보지 말고 단지 대 단지로 들어가서 비교해 봐야되며 그 안에서 오른 것과 아직 오르지 않은 것들이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비교하고 분석 해 볼 것

 

단지까지 깊게 들어와야 된다 삼호선 라인에 구축은 올랐네가 아니라 무학 제 역 인근에서도 땡땡 단지는 올랐는데 땡땡 단지는 아직 전 고점 대비에서 덜 올랐네 어떤 단지가 상승의 흐름을 직접적으로 받았는지 어떤 단지가 조금 더 올랐는지 파악하며 비교해 볼 것

 

그럼 나는 평촌 신도시 안에서도 평남과 평북을 비교해 보는데 평북의 역세권 소형 평형 단지들 중 한가람 샛별은 안 올랐네 라는 생각의 흐름을 가져 가야 한다

 

전세가 떨어지는 곳들의 심리가 위축되기 때문에 무조건 안 된다 투자금 벌어지니까 힘들어 라는 생각보단 기회를 만들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을 해 봐야 한다

 

상 승장과 하락장의 거래량 기준 10,000 건

하락장 때는 10,000 건 넘는 경우 거의 없는데 상 승장 때는 한 달에 10,000 건 이상 거래되는 게 밥먹듯이 일어난다

 

내일 상황에서 최선의 투자 상황을 선택하고 보유 한다

 

수도권의 매매가는 상급지일수록 높이 올랐지만 전세가는 대부분 비슷하게 올랐다

 

다만 지역마다 조금씩 편차가 있으므로 2023년 1월 저점을 찍었던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얼마나 편차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면 졸다


댓글


리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