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반 독서왕 도전 #1 열중 45기 82조 햐앙] 부동산 트렌드 2025 - 김경민, 김규석 외 4명

  • 25.06.09

 

부동산 트렌드 2025 - 김경민, 김규석 외 4명

 

 

읽은 날짜 : 2025.05.30 ~ 06.02 

핵심 키워드 3가지  : 시공비는 내려간적이 없다, 역대 최악의 공급부족, 대장단지 전고점 돌파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 8.5

 

 

목차

 

프롤로그_  2025년 부동산 시장이 특별한 이유 

Part 1_ 2024년 부동산 시장 다시 보기

Part2_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Part3_ 2025년 부동산 투자 빅 이슈 TOP 6

Part4_ 12개 대장 단지 상세 리포트

Part5_ 2025년 부동산 가격 大 예측

Part6_ 주목해야 할 '핫 플레이스'

특별부록_ 전세사기는 사회적 재난이다

참고문헌

 

 

책 내용

 

아파트 가격은 주식과 달리 한 방향으로 흐름이 정해지면 장기적으로 움직인다_ 49p

한강을 기준으로 삼는 것보다 더 세부적인 인접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를 5개 권역으로 나누면 다음 페이지의 지도와 같다. 그중 서울 중시의 종로구와 중구는 아파트 물량이 많지 않아 다른 4개 권역의 가격 움직임이 중요하다. 각 권역에는 대장 구가 존재하며 대장 구의 움직임은 인근 신도시 가격에 영향을 준다. _ 67p

2024년 6월 기준으로 서울시 구별 아파트 평당 가를 분석한 결과, 가장 비싼 구는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강남구로 평당 8,842만 원이다. _ 98p

전반적으로 강남구는 서울시 전역보다 조금 앞서 반등이 시작되고, 하락은 늦게 시작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_ 155p

시공비는 내려간 적이 없다. 

인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건설 비용에 상당한 변화를 야기한다. 

첫째, 시공비는 이전보다 감소한 적이 없다. 

둘째, 2020년 이후 현재까지의 시공비 누적 상승률이 매우 높다.

요약하면 시공비는 팬데믹 이전 대비 퀀텀 점프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과거 통제를 볼 때 시공비가 내려갈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현실이다. _ 176p

시사점

첫째, 고가와 중저가 아파트 상승의 시차가 존재한다. _ 120p

둘째, 고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권역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특정 고가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이 인접한 다른  고가 지역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_ 121p

셋째, 중저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비동조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중저가 지역 내에서도 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_ 123p

공급 절벽이 불러올 3가지 현상

첫째, 서울시 주택 가격이 상승한다. 

         주택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존재하지만, 공급이 충분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가격이 오르게 된다.

둘째, 전세 및 월세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신규 주택 공급이 부족해지면 전세 시장에 나오는 물량도 감소한다.

셋째, 주거 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

        주택 가격과 전세 및 월세 가격이 모두 상승하면 저소득층은 안정적인 주거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대장 단지 분석으로 보는 서울 부동산 6가지 인사이트_411p

① 대장 단지들이 전 고점을 돌파하며 상승 중이다

② 금리 인하는 시간문제다

③ 거래량과 매매가격이 같이 증가하고 있다

④ 강남 3구의 상승세가 전이될 것이다

⑤ 신축 아파트의 상승세가 퍼져나간다

⑥ 역대 최악의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

금리 인하는 주택 담보대출 이자율을 낮추며, 이는 부동산 수익률의 인하로 이어지고, 결국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연결된다. _ 425p

 

 

느낀점 및 적용할 점 

 

 해년마다 2025 시리즈 를 잘 읽는 편 입니다.

2025 트렌드코리아, 2025 부동산 트렌드, 머니트렌드 2025 등등 총3권은 1년 루틴 이라 할 수 있을정도로 읽은지 3년이 되어 가네요 ㅎㅎ 읽다보면 재밌기도 하고 읽은 현재 시점 은 2025년 6월 인데 앞으로 6개월 을 책 을 읽음 으로써 내가 먼저 지식을 안다는 것이 남들보다 앞서가는 느낌도 들기도 하며, 향후 대비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등 책 을 다 읽은 후에는 앞으로의 남은 1년 계획 을 세우기도 합니다.

또한 시간이 흐른후 ~ 2023년, 2024년 책 을 보면 '이걸 다 맞췄다고? 작가님 천재 인가?' 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잘 맞추는 트렌드도 있었고 '아 이건 안맞았네..' 라고 아쉬운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이 이 책들의 묘미 라 생각 하며 후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


햐앙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