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몰입 두번째 독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45기 august]

  • 25.06.25

 

1. 책의 개요

- 책 제목: 몰입 (합본 에디션) ebook

-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읽은 날짜: 2025.06.22

- 총점 (10점 만점): 10점/ 9.5점

- 몰입을 어떻게 할것인지에 대한 모든것이 담겨 있었고 몰입을 위한 뇌과학에 대한 이야기가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2. 책에서 본 것

[몰입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할 것들]

#몰입을위한준비

몰입상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신무이나 TV시청 등 외부 정보가 자신의 뇌에 입력되는 것을 가능하면 차단해야 한다.

자극적인 정보를 접하거나 몰입 시도 중엔 혼자 있는 편이 좋다고 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매우 활발한 두뇌활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단백질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당신이 잠든 사이에 문제는 풀린다]

#장기기억은잠을잘때저장된다

수면 중에는 낮에 경험한 것을 해마에서 재정리하고 통합한다.

해마에서 기존의 다른 기억과 관련성을 검토하고 중요한 경험은 장기 기억으로 보내 기억할 수 있게 한다.

반복적이거나 강한 감정을 가진 정보를 중요한 정보로 보는 기준을 삼는다.

 

[우리몸은 목적을 원한다]

#위기감과재미를활용하는목적지향

긍정적인 보상과 부정적인 보상이 유도하는 목적지향성은 우리 뇌가 작동하는 기본 메커니즘이다. 그러므로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위기감, 재미를 활용하는 목적지향을 이용하여야 한다.

다른 방법은 없다.

 

[최상의 컨디션 유지]

#규칙적인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삶과 일에 대한 의욕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원동력이다.

평소에 운동을 즐기지 않던 사람도 땀 흘릴 수 있는 운동을 매일 규칙적으로, 하루 1시간을 넘지 않게 한달 정도 하다 보면 삶과 일에 대한 의욕이 저절로 상승하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

 

[시냅스의 시간적 가중과 공간적 가중]

#시냅스의시간적가중과공간적가중을활용하자

한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자극이 전달될 때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다른 뉴런을 흥분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때가 있다. 즉, 시냅스를 발화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이때 자극이 일정 시간 내에 반복되면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충분해져 흥분이 전달된다. 이런 현상을 ‘시냅스의 시간적 가중’이라고 한다.

반면 한 개가 아닌 여러 개의 뉴런에서 동시에 자극이 전달되면 개개의 뉴런에 의해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이들의 합이 흥분을 야기시키기에 충분할 대가 있다. 이런 현상을 ‘시냅스의 공간적 가중’이라고 한다.
 

[몰입을 하면 인간관계에 문제는 없을까?]

#몰입을위해원만한인간관계를만들어야한다

몰입을 하고 싶으면 먼저 가정과 직장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특히 직장에서 지위가 낮을 경우 대체로 일하는 방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므로 열심히 노력해서 먼저 상사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한다. 인정을 받아야 자유가 생기고, 자유가 생길수록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노력할 수가 있다. 또한 몰입이 현실과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만약 몰입 활동이 현실과 충돌하고 대립한다면 현실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를 두어야한다. 이상적인 삶을 추구하더라도 두 발은 항상 땅을 딛고 있어야 한다.

 

[해야 할 일을 즐기는 행복한 삶]

#삶이곧천국이되는방법

사람들은 흔히 ”행복해지려면 정말로 좋아하는 일을 하라”고 조언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 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설령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을 추구한다 해도 이를 통해 누릴 수 있는 행복은 매우 제한적이다. 오히려 자기가 좋아하는 일만 하면서 행복을 추구하다 보면 삶이 점점 더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해야 할 일을 좋아하고 그 일을 하면서 행복을 찾는다면 누릴 수 있는 행복은 무제한이 된다. 이는 자신의 역량을 키워주고 더욱 성공적인 삶으로 이끈다. 삶이 곧 천국이 되는 것이다.

 

3. 책에서 깨달은 것

1) 내가 좋아하는 일만 하기보다 내가 해야 할 일에 몰입을 하여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

2) 행복을 통제할 수 있으면 더 이상 행복을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지 않도록

마음가짐에 따라 행복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행복 통제하여 삶에 중요한 것들을 추구하자.

3) 투자공부를 반복하여 시냅스의 시간적 가중과 공간적 가중을 실행해보자.

 

4. 책에서 적용할 점

1) 몰입을 위해 내가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앞마당을 계속 만들어 보자.

2) 몰입 중 선잠을 실천하기 위해 명상 하는 걸 고려해보고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효율적인 기억저장을 하는 법을 체득해보자.

 

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580/1190) 마찬가지로 행복하지 않은 사람은 늘 행복을 추구하지만, 행복을 통제할 수 있으면 더이상 행복을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지 않는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행복할 수 있는데 이를 굳이 인생의 목표로 삼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복을 통제할 수 있을 때 삶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고 비로소 삶에서 정말 중요한 것들을 추구할 수 있다.

(P.1062/1190) 한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자극이 전달될 때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다른 뉴런을 흥분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때가 있다. 즉, 시냅스를 발화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이때 자극이 일정 시간 내에 반복되면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충분해져 흥분이 전달된다. 이런 현상을 ‘시냅스의 시간적 가중’이라고 한다.

반면 한 개가 아닌 여러 개의 뉴런에서 동시에 자극이 전달되면 개개의 뉴런에 의해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이들의 합이 흥분을 야기시키기에 충분할 대가 있다. 이런 현상을 ‘시냅스의 공간적 가중’이라고 한다.


댓글


august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