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실준반 70기 4조 미래엔 입니다.
그동안 부동산 공부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었지만, 막상 시장에 직접 뛰어들었을 때는 실전
감각이나 투자 기준 없이 접근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나는 조금 안다'는 착각 속에서, 상가 투자에 나섰던 그때는 지금 돌이켜보면 철저한 준비 없이
부동산 사장님말에 혹해서 이뤄진 결정이었고, 그 결과는 제게 값비싼 교훈으로 남아 있습니다.
특히 너나위님 강의에서 강조하신
“잃지 않는 투자”이 말씀이 제 마음에 깊이 박혔습니다.
공부 없이 시작한 투자는 결국 리스크를 통제할 수 없는 투자가 되었고, 지금에 와서야 그 중요성을 절감합니다.
잃지 않는 투자
→ 부동산공부가 하나도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한 상가..
정말 뼈아프게 남아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무슨말씀이신지 더 와닿았어요~
저평가판단, 말은 쉬운데 샐행은 어렵습니다.
→ 시장 상황에 따라 '저평가'의 기준은 달라지며, 이를 정확히 읽어내기 위해선 수많은 사례 분석과
시세 흐름에 대한 감각이 필요합니다. 특히 강의에서 강조하셨던 저평가 아파트를 고르는 기준을 잡기
위해 '앞마당' 데이터가 정말 많이 필요하구나를 느끼는 강의였습니다.
하락기와 상승기 또 이번 부동산 규제까지.. 내가 어떤 시장에서 어떤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자기 객관화하는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도 느꼈습니다.
나는 어떤 투자를 하는지 알고 있나? 투자목표 및 방향설정.
최고 수준의 투자는 무엇인가? 상대적으로 뭐가 좋은지를 아는 투자
가치 성장 투자 (매도신경 X) = 소액투자는 같은 것 (매도를 신경써야 하는것)
→ 저는 당장은 아니지만 종잣돈 2억~2억 5천을 가지고 6개월 남은 세낀 물건을 찾아서 26년까지 현재 내가 가능한 투자를 하는게 목표입니다.
강의에서 배운대로 “열 개를 보고 하나를 고르자”는 마음가짐으로, 충분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뚜렷한 투자 기준을 세워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실준반을 통해 투자 감각을 키우고, 과거의 시행착오를 발판 삼아 임장보고서 1개 완성 !! 그리고 시장 안목과 분석 능력을 조금이나마 키웠으면 좋겠습니다.
부채가 아닌 자산을 향해서 ~ GO!G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