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더 좋아? 덜 좋아? [실준반 70기 럭키7을 0(빵) 하고 찾조 태싸]

  • 25.07.12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안녕하세요

돈 그릇을 키워나가고 있는

태싸입니다.

 

이번 2주차 강의는

권유디 튜터님께서

임장과 임장보고서에 대해서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어느덧 실준 강의도

세 번째다 듣다 보니,

익숙했던 내용이라

흘러 들을 수 있었지만

 

알면서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넘어가진 않았는지

 

권유디튜터님의 따끔한 충고 덕분에

저를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그럼 이번 강의를 통해

얻었던 3가지를 

이야기 드려보겠습니다.

 

더 좋아? 덜 좋아?

 

선호도를 매기다보면

"좋다, 좋지 않다."라고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투자자라면,

좋지 않은 단지에도

가격이 싸다면

투자가 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더 좋다, 덜 좋다'로 접근해서

선입견을 버려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BM

더 좋다, 덜 좋다의 기준으로만

선호도 매기기

 

좋은 것과 덜 좋은 것

혼재되어 있는 시기

 

상승장에서는 가치에 맞게

가격이 형성이 되는데요.

 

반면 하락장일 때는

가치와 상관 없이 가격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이럴 때일수록 

내가 눈으로 보고 

발로 밟으면서

가치를 명확하게 안다면

 

혼재 되어 있는 시장 속에서

오히려 좋은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현재 6.27부동산 규제로

실수요자들이 

쉽게 덤비지 못하는 시장

 

전세대출규제로

투자자들은 위축되고 있는 시장

 

이럴 때일수록 

확신을 가지고

용기를 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BM

혼재되어 있는 시장에선

가격 중 가장 좋은 단지를

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더 좋지만 싸지 않은 단지

덜 좋지만 싼 단지

 

강의를 듣기 전 이였다면

당연히 싼 단지 사는 게

안전하겠지 ! 라고 

생각을 했을텐데요.

 

요즘 같이 주춤하는 시장에서는

상관이 없겠지만

 

대세 상승장이 온다면

자산의 격차는 크게 벌어 질 수

있다는 사실

 

더 좋지만 싸지 않은 단지는

크게 빠질 수 있겠지만

 

공급이 계속적으로 부족한

서울, 수도권 시장에서는

리크스를 감안하더라도

 

더 좋은 단지를 

해야겠단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BM

리스크 대응만 된다면

덜 싸더라도 

더 좋은 단지의 투자하자.

 

 


댓글


호이진user-level-chip
25. 07. 12. 19:27

완강 고생 많으셨습니다 태싸님~!! 아직 강의 못들었는데 얼른 들어보고 싶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