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산책봇입니다.
작년 3월 열기로 월부에 입성했을 때
너바나님께서 말씀해주셨던
"1년 안에 투자하세요"
이 말을 듣고 1년 안에 투자를 목표로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지기 강의를 신청할 때
강의를 듣고 꼭 1호기 씨앗을 뿌리고오자라는 마음으로 신청하였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강의 초반에 제주바다님께서
"이제는 정말 심어야 해요
심어야 결과가 나와요
투자를 해야 해요"
이 말이 정말 와닿았습니다
제주바다님께서 무려 8시간동안 진행해주신 강의에서도
단순히 지역분석만 해주시는게 아니라
투자 우선순위와 실제 투자사례, 투자시 주의사항까지 알려주셔서
정말 투자할 수 있도록 해주시려고 하는구나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럼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으로 후기를 남격보겠습니다.
임보에 공급이 없다는건 투자를 안하겠다는 것과 똑같아요
지방에서의 공급은
매수,보유(재계약),매도 시점에 영향을 줍니다.
중심지에 입주가 있다면 투자 물건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외곽 산단 옆에 한 개의 단지가 입주하는건 투자 물건에
영향이 없습니다.
실제로 A지역 임보를 작성할 때
외곽에 3000세대 입주가 있는데 해당 단지 입주가 중심지에도 영향이 있을까?
이 문제로 열심히 고민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멘토님께서 해당 단지를 언급해주셔서
그 때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근데 만약,
해당 단지가 어느 위치에 있고 몇 월에 입주하는지 모른다면
정확한 투자의사결정을 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저는 월별 공급캘리더를 작성할 때
카페에 있는 자료를 그대로 가져와서
언제 어느정도 입주가 있구나~
이렇게만 확인하고 넘어갔었는데요 ㅎㅎ
매물정보를 볼 때
전세 낀 물건이 있으면
어떤 단지의 입주와 맞물리는지, 내가 감당할 수 있는 투자인지
정확히 알기 어려웠습니다.
이번달부터는 공급캘린더를 만들 때
어떤 단지가 입주하는지
가격이 흔들릴만큼 영향이 있는 단지와 그렇지 않은 단지를
추가로 넣어보겠습니다.
그리고 단지분석시에서는
입주가 있었을 때 단지별 전세가의 변화를 확인해서
공급의 영향이 어디까지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을 알게됐습니다
남들이 보지 못하는 단지를 간다
1주차 강의에 나온 A,B지역은
각각 한 개 구를 앞마당을 만든 곳으로
지역분석은 놓치고 있던 것을 알아간다는 마음으로 들었는데
정말 놓치고 있는 건 따로 있었습니다 ㅎㅎ
A지역에서는
어떤 생활권은 가격이 비싸니깐 제외~
어떤 단지는 구축밭 신축이라 싫어~
투자 후보로 볼 수 있는 대상들임에도 불구하고
한 단지에 사랑에 빠져서
그 단지에 기회가 오기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멘토님께서는
제가 투자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곳에서
20평대도 시세트래킹을 하고
구축밭 신축이라서 오히려 수요가 좋고 전세가가 높다
라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또한,
네고는 말빨로 하는게 아니라 시장상황이 받쳐줘야 할 수 있습니다.
투자가 불가능한 단지만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단지가 날라갔다면
아직 사람들이 찾아오지 않은
다른 생활권,단지를 가서 기회를 잡아야 한다는 것을
복기할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에는 지역분석만 듣기도 버거웠는데
이번에는 아는 지역이 나와서 조금 더
멘토님께서 말씀해주시는 투자 사례에 집중해서 들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강의 중 판서하시면서 하나라도 더 알려주시려는 멘토님 감사합니다!!
알찬 내용이 많아서 꼭 다시 복습해서
임보와 투자에 적용해보겠습니다
긴 시간동안 강의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
산책봇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