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4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111조 이층복도]

24.03.01

[E지역]

  1. 광역시와 맞먹는 인구수, 중소도시 중 인구수가 가장 많다.
  2. 인구수가 감소하고있다.->수요감소->선호하는곳을 골라야한다.
  3. 구축이라도 인정받는 도시(입지독점성이 있다)-> 이부분은 광역시와 비슷하다.
  4. 교통이 매우 중요한 도시이다. 직장과 출퇴근 시간에 따른 생활권 선호도가 결정된다.
  5. 공급이 많다. 26년 5월 이후 만기되도록 세팅하자
  6. "제조업 기반 도시, 위험하지 않을까요?"-> 이런 고민은 순자산 10억 이하는 하지 말고 싼지 비싼지만 보고 투자해라 _너나위


*중소도시는 최대 5년 보유한다는 관점으로 투자한다.->종사자수,연식 등 5년 이후에도 그 가치가 변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자


[F지역]

  1. 철저한 베드타운 역할을 수행, 주변 도시의 공급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2. 생활권에 따라 E지역에 영향을 받는 곳, G지역에 영향을 받는 곳이 나뉜다.
  3. 어느 중학교를 보내는 단지냐에 따라 가치 차이가 발생한다. ->학급수와 학생수가 증가하는지 까지 살펴봐야한다.
  4. F지역 투자는 쉽다.-> 눈에 보기에 좋아보이는 곳이 좋은 곳(선호도 높은 곳)이다.


*"저 환 수 원 리"에서 "환 수 원 리"는 계산하는 값이므로 고민할 필요없이 정해진 값이다.

"저" 는 가치와 가격으로 나뉘는데 가격은 네이버부동산에 나와있다. 그러므로 투자를 하기위해서는 가치만 생각하면 된다.


*[Tip]전세매물이 많아 전세가는 낮게 세팅해야 할 경우 네이버부동산에 광고하지말고 부동산사장님께 부탁해 전세보러오는 분께 싸게 할 수 있다고 말해달라 하자.-> 낮은 전세가로 네이버부동산에 올라오면 나와 비슷한 상황의 투자자들이 다같이 가격이 낮춰 전세빼기 힘들어 진다.


4강까지 모두 마치고 나니 중소도시의 투자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된거같습니다.

강의의 모든 부분을 내것으로 만들 순 없지만 달에 한개씩이라도 적용해서 투자를 해나갈 수 있게하겠습니다.



댓글


이층복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