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강의 후기


[느낀 점]

○ 지방광역시의 평균적인 시세차익은 경기도 수준에 육박한다. 지방 투자로도 경제적 자유가 가능하다.

지금 지방은 미분양 증가로 인해 건설사 분양 감소로 이어지고, 수요대비 공급 부족으로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이는 곧 매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금 지방은 투자 가능한 계절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반드시 투자를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한 달을 보내보자.


○ 지방투자는 개별성이 중요하다. 지방이라고 전 지역을 같은 공식을 대입해서는 안된다. 광역시의 경우는 투자시 최우선순위는 입지좋고 신축, 2순위는 입지가 좋고 연식이 구축이라는 점에서 입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곳이다. 무조건 신축이 좋은 건 아니다.


○ 대전은 학군의 영향력이 있는 곳이다. 특히 둔산동의 경우에는 떠났던 사람들도 다시 교육을 위해 돌아오게 만들 정도로 학군의 힘이 있다.


○ 대덕연구단지와 충남대병원 일대 아파트 비교를 통해 일자리 규모가 많고 전반적인 소득수준이 높은 곳이 특정 고연봉 직장 지역보다 낫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직장을 볼 때 지리적인 면도 중요하지만 양적인 면을 함께 고려하자.


○ 선호도의 중요성

가격은 입지 외에도 선호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한다. 선호도는 나의 경험, 역지사지, 가격비교, 인터뷰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나라면 여기서 살고 싶을까 라는 생각으로 접근해본다.

역지사지는 도룡동이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는데, 지역 사람들이 뭘 좋아하는지 파악해보는 것이다. 도룡동은 지역 내에서 부자 동네로 인식되는 곳이다. 그냥 받아들이자.


[적용할 점]

○ 비교 평가를 끊임없이 해본다. 이번 강의에서도 단지 vs 단지간의 다양한 비교 평가를 통해서 어디가 저평가인지, 어디에 투자 기회가 있는지 판단하는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동일평수 생활권별 비슷한 금액의 단지 비교, 동일 생활권 내 입지 좋은 구축과 입지 떨어지는 신축 간 차이 등을 비교해 보면서 저평가 단지 찾기.


○ 그래프를 내 힘으로 분석해본다. 왜 공급물량이 많은데 매매, 전세가가 올랐을까? 해석을 위해서 네이버 카페나 기사 등을 서칭해서 분석하고 해석해보는 힘을 기르자


○ 호갱노노나 인터넷 서칭을 통해서 지역 주민들의 생생한 의견을 취합해보고, 임보에 반영하자.








댓글


부만보user-level-chip
23. 08. 08. 20:50

잘 정리된 강의후기네요! 고생하셨습니다!

강하리user-level-chip
23. 08. 08. 22:08

비교평가! 저평가! 가장 어려운 숙제T_T 같이 열심히 비교해보아요~~라떼님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