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기반 10기 109조 정천꾸]

  • 24.03.14

서울투자 기초반 첫주가 시작되었다.

실전반과 지방투자를 먼저 들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열반중급 슈필라움조장님의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어짜피 끝은 서울에 가치성장투자라는 것을 생각하며, 어찌피 들어야 할 강의라고 생각하며 수강하게 되었다.


시작과 함께 부자되는 법이 등장했다.

내 인생 목표를 세울 것, 투자를 배우고 실행에 옮길 것, 실행을 반복할 것, 반복을 가치 있게 여길 것, 멈추지 않는 것. 이것이 다였다. 간단하지만 강력한 것 같다. 꾸준하게 가보자.


느낌점, 적용할 점 추후 보완.


-서울투자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에 투자하는 것이다. 누가봐도 살고 싶은 동네, 아파트에 투자한다.

-선택의 근거를 가지고 선택하며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고 투자하며, 자산을 모아간다.

-가격이 오르고 내리고를 떠나 가격의 본질을 파악 할 수 있어야한다.(이 시장이 기회인가?)

-시장 참여자들은 매매상승 기대감이 없다고 생각되면 전세를 선택한다. 이런 사람들이 많아지면 전세가가 올라가고 이것이 하락장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보유(가치성장투자)=팔지 않는 것을 사자.->전세운용(현금 흐름)->상급지 갈아타기(매도 차익)

-가격의 절대가는 내려가지 않는다. 오르는 것에 익숙해질 것.

-폭등장은 단기간에 오지 않는다.

-거래량에 조급해 하지 말기. 앞으로 시장에서 이전과 같은 폭등장은 오기 힘듬. 거래량은 줄고 매물은 많은 가치와 가격이 뒤죽박죽 된 시장이다. 옥석 가리기를 잘해야 한다.

-상승장에 내 자산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는 엄청 크다.

-가치대비 저평가 된 물건을 감당 가능한 선에서 사고 한채씩 늘려가면서 10년을 기다리면 노후대비와 경제적 자유에 다가갈 수 있다.



-신축이면서 거주환경이 좋은 동네는 사람들이 좋아하지만 신축 이라는 이유만으로 매수하는 것이 아닌 상대적으로 비교하며 가격이 합리적일때 선택.

-역세권에 호재덩어리라도 비교 상대 대비 가격이 높다면 인기가 없다.

-역세권이 아니여도 사람들이 거주지로서 더 좋아하는 단지이면서, 가격이 싼 단지를 매수해야 한다.

-고가의 아파트시장은 그들만의 리그이고, 나머지 시장에선 연식이 좋거나, 환경이 좋거나, 가격이 싸거나, 이랑 가까운 곳이 선호도가 높다.

-선호도가 없는 동네는 우선순위에서 제외해라.

-서울은 급지로 나누기 보다는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단지인가? 동네인가?를 생각해야된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와 그렇지 않은 단지는 전세가 변화폭이 다르다.->1년전 전세가와 현전세가 비교->임잔 후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인지 직접 확인해라.

-신축 아파트의 전세가 상승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입지가 좋고 연식이 좋은 아파트부터 접근.(입주하고 있는 지역 제외)

-서울 4급지 안에서 투자 할 것. 급지가 좋아도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다면 투자가치가 없다(3급지 구석 비선호 단지보다는 4급지 선호단지)

-위치는 좋으나 환경이 열악했던 곳은 환경이 변하면 상승장에 많이 상승한다.(마포구, 흑석)


-서울내에 새아파트가 들어오는것이 어디지? 환경이 변하는 뉴타운은 어디지? 위치가 좋은곳 중 저평가 된 곳은 어디지?

-뉴타운보다 땅의 가치가 높은 선호단지에 투자해라.

-강동=고덕>천호

-가치성장투자는 가치 있는 것을 싸게 매수하여 수익을 높이는 투자(투자금이 많이 들어갈지라도)

-소액투자는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는 투자를 한다.(1억 내외/전세가율 70%이상)

-좋은 단지는 먼저, 많이 오른다.

-현장 매물+전세 물량+전세가+현장 분위기 체크

-동별 단지가 가지는 가치에 따라서 투자 우선순위는 달라질 수 있다.

-현장 임장을 토ㅓㅇ해 정말로 투자를 해서는 안되는 곳과 거주지로서 살기 편한 곳을 나누고 그 동네안에서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를 골라라.

-같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더 좋은 단지가 없는지 꼭 비교하여 투자.

-투자금에 맞는 단지만 보물 찾기 해서는 안되고 단지를 선택함에 확신이 있어야 한다.

-리스크 관리, 영끌 금지

-초기투자금이 많이 들어가고, 투자금 회수가 늦을 수 있으나, 여유있게 기다리면서 상승장까지 기다릴 수 있다면 똘똘한 한채 투자도 유효함.


-현재 1억미만 투자는 하급지에만 가능하므로 가치성장투자가 아니다->추후 매도를 생각해야함.

-서울 외곽을 고려시 경기도 안에서 비교평가 해볼 것.

-제대로 공부한 후 서울을 볼 것.

-입지가 좋은 곳은 매매가가 금방 날라가고, 전세가율이 붙는 기간이 짧음. 절대가 자체도 높고 타이밍 잡기도 ㅎ힘들다.

-전세가율이 높은 상태를 얼마나 유지하느냐, 길게 유지한다면 투자 타이밍.

-입지가 안좋은 곳은 소액투자 치고 빠지기.

-아파트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야하고 단순히 오른다 / 내린다가 아닌 아파트별 특징을 알아야 한다. 특히 전세가율이 오르는 시기.

-열심히 저축하고, 윗 첫장을 부수고, 전세가가 올라 투자의 기회가 생기는 곳을 봐라.

-더 좋은 물건을 사라는것보단 싸면서 더 가치가 높은 물건을 매수하는 것.

-전고점을 참고하여 감을 잡고, 상승장에 전고 레벨이 비슷하다면 선호도가 비슷한 것.

-보유하면서 투자금이 적당한 시기에 회수되며, 전세상승 흐름과 시세차익까지 함께 누릴 수 있는 단지. 역적세가 나더라도 일으켜 놓은 현금 상슴분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곳. 저렴한 매매가/전세가가 중요하다.

-한채한채 잘 사는게 중요하다.

-선택의 근거를 가지고, 앞으로 무슨일이 일어날지 알며, 예상할 수 있는 투자->저평가, 전세가가 오르는 시장.

-정보가 아닌 행동이 결과를 만든다./결과를 만들어 내겠다는 믿음 자체가 결과를 만든다.



-월부에 온 이유가 뭔가? 강의를 듣고 달성하고 싶은 목표가 뭔가?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행동 할 수 있다.

-내가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갈 것.

-열심과 행복은 공존할 수 있다.


댓글


정천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