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투자기초반 19기 64조_지금2] 1주차 강의 후기
[본] 기회를 줄 때 잡아야 한다. 변하지 않는 것을 알아야 한다. 조건들을 교차하는 걸 찾는 게 중요하다. 서울 25개구 입지요소별 장점을 들으며 머릿속에서 25개구가 지닌 장점에 대해 그려나갈 수 있었던 시간 현재 서울 시장에서 가치성장투자와 소액투자 접근 방법 [깨] 아직 오르지 않은 것들 중에 더 오를 것을 찾아야한다. 같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서기14기37조 지금2] 서울투자기초반 2주차 강의 후기
[본 것] -재개발과 재건축이 헷갈릴 때는 '조.사.관'을 기억하기 보통 관리처분인가 후 준공까지 약 5년이 소요된다. -땅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는 그 동네에서 대장은 의미가 있지만 두 땅의 격차가 너무 크다면 고려해봐야한다. -미분양이 났을 때는 왜 미분양이 되었는지 생각해보기 -> 가격이 비싸서 시장에서 받아주지 않은 것은 아닌지 -> 추후 미
[서울투자 기초반 14기 37조 지금2]1주차 후기
[본 것] -투자 가치기준 : 강남에 한 시간 이내 접근 가능하고, 업무 지구를 품고 있다면 유의미하다! -투자를 하다보면 가격이 눌려 있는 구간을 만나게 될 것이다. 이때 사람들이 진짜 좋아하는 곳에 투자하면 좋겠지만, 덜 좋아하더라도 그 단지가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보고 투자를 해도 되는 단지라고 판단되면 왜 가격이 눌려있는지 생각해보기 -급하게

3주차 강의 후기 작성
[본 것] -C지역은 추후 공급이 없기 때문에 기회의 땅이라는 것. -인구수를 분석할 때 왜 해당 지역에 인구가 많을까? 라는 질문을 던지고 사고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유가 무엇일지 고민해보는 것. -지방 앞마당을 만들 때 광역시에서 가장 좋은 지역 2개 정도를 보고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투자를 잘하는 방향보다
2주차 강의 후기
[본 것] 학원가와 좋은학교, 택지의 조건을 갖춰야 학군지의 힘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공급을 분석할 때 진정한 의미는 가격이 싸야하다는 점 입지 등급을 넘어서는 선호도를 가진 지역인지 고민해볼 것 지방 투지 시에는 "나라면 전세 주고 여기 계약할까?"라는 관점으로 접근해보기 과거 가격의 흐름을 통해 저가치인지 저평가인지 판단해보기 시세 트래킹을 할 때 구별
지방투자기초반1강후기 [지기 19조 매주19시간씩몰입해서투자2뤄낼거죠5 지금2]
[본것] -중소도시의 경우 선호도에 따라 잃는 투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 -이에 반해 광역시는 수요가 많아서 상단이 높다=그만큼 전세를 운용하는 관점에서도 보다 안전하다=그래서 광역시는 덜 선호하는 지역까지 투자해도 괜찮다. -그렇기 때문에 중소도시는 규모가 작기 때문에 가치 있는 투자가 더더욱 중요하다. 입주장과 맞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