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라는 별을 향해 희망을 계속 쏘다 보면 도달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Q&A
안녕하세요, 별을향해쏴라 입니다.조모임이 없으니 물어볼 선배님들이 없어요(시무룩) 그래서 다시 돌아왔습니다. 지방 아파트 시세조사 중인데 아파트 수요는 해당 도시의 인구에 따라 결정된다고 들었습니다.(맞나요?)그래서 100만부터 20만 이상의 지방 도시들을 찾아봤는데 20만 이상 도시들은 다 시세조사를 해야하나요?? 지난 강의 때 자모님이 말하시길 수익률 계산했을 때 청주, 천안, 대전은 수익률이 안 나온 이유가 ‘아파트 공급이 많아져서’ 라고 하셨는데 그럼 시세조사도 공급이 많은 지역은 후순위로 두고 투자를 염두할 거라면 공급물량이 적은 지방 도시부터 시세조사를 해야하나요?? 물론 다 해야하는 건 알지만요. 그리고 공급물량이 어느 정도 해소된다는 기준이 뭔가요??? 질문1- 20만 이상 도시들의 시세조사 여부질문2-공급물량이 적은 도시부터 시세조사?질문3-공급물량의 해소 기준?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58
0
11
안녕하세요, 월부 입성은 했으나 강의 조금씩 듣고 눈팅만 잔뜩하며 별명과 달리 소심한 별을 향해 쏴라 입니다.다름 아니라, 너나위님의 저평가 아파트 찾는 방법과 어제부로 끝난 자모님의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부동산 소액 투자 스터디를 끝내고 7월부터 지방 시세조사를 하던 중 궁금한게 있어서 올려봅니다. 제목에서처럼 지방 시세조사를 하고 있는데 지방은 중심지 말고는 아파트도 별로 없고 있어도 구축이고 제가 생각했을 때 환경도, 입지도 안좋은데 아파트 시세조사를 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자모님 수업을 듣고 수익률 계산을 해도 중심지 외곽 지역은 공급이 많아서 그런지 수익률도 0%거나 마이너스이니 주말과 주중에 시세조사를 하는데 쓸모없는 짓을 하는 게 아닌가 자괴감에 빠지기도 합니다. 투자라는 게 어떤 상황과 조건에 따라 정답이 없는 건 맞지만, 중심지 아닌 동도 시세조사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선배님들 알려주세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6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