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 중급반 2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63조 거미고미]
나는 서울, 수도권에 대해서 얼마나 아는가? 서울에 산지 15년이 다되어가는 이 시점에, 서울, 수도권을 정말 모르고 살았구나 이번 강의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수도권을 1~5군으로 구분해서, 구별 핵심 단지, 그리고 군 안에서 비교하는 "시각"을 알려주셔서 정말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그러주신 지도, 언급하신 단지를 머리 속에 넣음과 동시에, 실제 가
염창동아3차, 전농SK, 남가좌현대 입지분석 [내집마련 중급반 1기 63조 거미고미]
후보단지1. <STEP1. 기본정보> =아파트명 : 염창동아3차(22평) =세대수 : 570세대 =입주연도 : 1999년 =위치 : 서울시 강서구 염창동 (4군) <STEP2.직장, 교통, 환경> =직장 A등급 : [해당구] 강서구 A 등급(종사자수 257,494명, 사업체수 39,458개사) : [주변구] 영등포구 S등급(종사자수 373,478명, 사업체

내집마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63조 거미고미]
서울에서 내 집 마련 가능할까? 전세 만기가 다가오는 시점에서, 투자를 해야 하나, 내 집 마련을 해야 하나 선택의 기로에 서 있었습니다. 매번 뇌피셜로 고민만 하며 차일피일 선택을 미루는데 급급했습니다. 이번에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저의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을 다 하기 위해선 방법을 알려줄 선생님이 필요했고, 유튜브에서 많은 사연자들의
거미고미의 내집마련 후보 단지 정리하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63조]
현재 저의 상황은 자본금 3억, 대출 가능 금액 3억으로 매매가 6억 혹은 전세갭 3억원 이하 아파트 중심으로 살펴봤습니다. (서울 시내에서 보려고 하니 후보군이 별로 없습니다 하핫ㅠㅠ) 파란색 부분이 괜찮은 곳, 적색이 위험, 약간 위험한 구간의 단지 입니다.

열반스쿨 기초반 4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6기 51조 거미고미]
<부동산 전망과 가치 투자하는 법> 1. 전망 -거시경제, 미래상황 예측은 불가능&무의미 (마음가짐) 불가능한 것에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지 말고 그 안에서 내가 할 수 있는, 해야 하는 것에 집중(독/강/임/투) 2. 부자가 되기 위해 해야하는 일 -1)통찰력 보유 + 2)투자금 보유 + 3)상승장 도래 + 4) 물건 보유 (해야할 일) 1)공부(독서+강
열반스쿨 기초반 3강 강의 후기[열반스쿨 기초반 66기 51조 거미고미]
<초보투자자가 겪게 될 모든 것> 1. 첫 임장지역 선정 (선정방법) 왕초보(임장보고서 0개) 집 근처(동대문구) or 회사 근처(마포구, 서대문구) 5곳으로 압축하여 다녀보기 (태도) -지역에 대한 선입견 버리기 : 기존에 알고 있던 생각을 버리고 새로운 지역을 다닌다는 생각으로 임하기 -임장 습관 만들기 : 임장 목표 설정 및 반드시 지키기 -임장을 마
서대문구 남가좌동 남가좌현대 아파트 수익률 분석 보고서 [연발스쿨 기초반 66기 51조 거미고미]
▶ 아파트명 남가좌동 남가좌현대 ▶ 위치(지도) ▶ 입지평가 1. 직장 : B등급 동대문구 사업체수 28,522개 / 종사자수 118,256명 (출처 : 서대문구 2021년 기준 사업체조사 보고서) https://sdm.go.kr/sdmbigdata/statistics/industry.do 2. 교통 : B등급 강남 69분 / 여의도 43분 / 시청 38분

열반스쿨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6기 51조 안길현]
<나의 투자 단계는 어디일까?> (현재상황 인지) 초보 단계(월급쟁이 전세입자)에 8년을 머물러 있음 2.(해야할 일) 나의 To Be를 생각하고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현실적 방향을 결정해야 함 : 실거주자(똘똘한 한채) vs 투자자(가치 있는 여러채) => 각자의 장, 단점을 정리해보고 자체 판단 => 자체 판단이 어려우면 관련 특강 혹은 투자 코칭을
[열반스쿨 기초반 66기 51조 거미고미] 거미고미의 비전보드
STEP1. 이미지보드 STEP2. 인생 목표 써보기 1. 경제적 여유 순자산 35억 달성 공원이나 한강이 가까운 서울권 아파트(30평대) 2. 행복한 가정 가족들과 연 1회 해외여행 가족들과 월 1회 모임 가족들에게 사랑과 격려, 감사의 표현 하루에 1번이라도 꼭 하기 3. 관계 및 건강 체력과 건강한 멘탈 보유 주 3회 운동(근력or 유산소 or 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