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인 입장에서 하자 관련 특약 어떤게 더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구축 아파트 매매 계약 예정입니다. 하자 관련 특약 관련해서 찾아보니 보통 아래 둘 중 하나로 넣는 것 같더라고요. 두가지 중 어떻게 작성하는게 매수인 입장에서 더 유리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 범위에 대해서는 관련법규에 따른다. 중대 하자 발생 시 잔금일 이후 6개월은 매도자, 이후는 매수인이 책임진다. 1번의 경우 잔금일이
계약 시 중대하자(누수) 관련 특약 내용 한번 봐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첫 내집마련 계약을 앞두고 있습니다. 계약 전 부동산으로부터 특약사항을 받았는데, 중대 하자 특히 누수에 대한 것이 이렇게 들어가면 될지 문의 드립니다. 참고로 25년차 구축 아파트인지라 특히 하자 관련한 걱정이 크네요.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 범위에 대해서는 관련법규에 따른다. 제가 이것저것 찾아본 바로는 보통 잔금
전농SK 아파트 분석 보고서 [내집마련 기초반 56기 32조 명랑한카페]
과제 제목은 1강 과제에서 찾은 아파트 단지 중, 1개단지를 선택해 [단지 이름]을 넣어서 작성해주세요 *제목 예시 :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 아파트 분석 보고서 [내집마련 기초반 56기 1조 닉네임] 1. 내가 찾은 아파트 단지의 연식·세대수·매매가·전세가를 확인해요 *아래표를 편집해서 활용하세요 *매매가 전세가는 20평형 1개, 30평형 1개를 기재하세
[내마기 2강 강의 후기] 실전에 필요한 모든걸 배운 느낌이에요
매물 리스트업하면서 여기저기 보다보면 저마다 자기 아파트가 좋다. 앞으로의 호재가 크다는 말이 99%는 있더라고요 ㅋㅋㅋㅋ 강의 듣기 전에 호갱노노 등을 보면 거의 모든 아파트들이 이야기하는 ‘왜 이 아파트가 좋은지, 앞으로 뭐가 더 좋아질 것인지’에 대해 솔깃하기도 하고 흔들리기도 해서 거기에 대한 피로도가 많이 쌓여있었습니다. 열정적인 2강 강의를 듣고
[내집마련기초반 56기 32조 명랑한카페] 내집마련을 위한 위대한 첫걸음!
반가운 모임이었습니다
[내마기 1강] 내집마련 방향정하기 과제 : 면목 현대
과제 제목은 [찾은 단지 중 하나]를 넣어서 작성해보세요 (예시) 내집마련 방향정하기 과제 :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 1. 내 종잣돈과 소득기준으로, 지금 어디로 가봐야 할지 확인하기 *너나위님 강의 교재 다운로드에서 '내집마련 계획 판독기' 자료를 다운받아 내 종잣돈과 소득을 넣었을 때 ‘어디로 가볼까?’ 칸에 나오는 내집마련 방향을 적어보세요 *공개하기
[내마기 1강 후기] 이제 좀 길이 보이는 것 같아요!
내 집 마련에 관심이 생긴건 부동산 붐이 일었던 2020년~2021년이었던 것 같아요 그 때 처음으로 나도 집을 사고 싶다! 싶어서 무작정 부동산 관련 유튜브도 찾아보고 네이버 부동산도 찾아보고, 혼자 임장이랍시고 아파트도 찾아가고 했었죠. 그런데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혼자 알아보다보니 유튜브의 여러 의견에 이리 저리 흔들리게 되더라고요. 특히나 부동산은
[오프닝 강의 후기] 궁금했지만 물어볼 사람도, 가르쳐줄 사람도 없었던 것들을 쏙쏙
이제 막 부동산에 관심을 갖는 부린이인지라 모르는 것도 많고 유튜브나 주변 이야기 들으면서 궁금한 부분도 있었는데 그런 부분을 쏙쏙 알려주신 것 같아요. 특히 주상복합 vs 아파트 비교해주시는 부분은 주상복합은 아파트보다 가치가 떨어진다. 는 이야기는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왜 가치가 떨어지는건지에 대한 것은 명확하게 모르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그 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