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금일 하루 뒤 이사가도 되냐는 매도자... 문제 없을까요?
집 매수 계약 후 잔금일만 남은 상황입니다. 원래대로라면 매도자가 짐을 뺀 뒤 확인하고, 잔금을 치루는게 맞고 그렇게 할 계획이었는데 매도자 측에서 이사 날짜가 좀 안맞게 되었다고 하루만 늦게 짐을 빼면 안되겠냐고 하네요.. 부동산 측에서는 혹시 모르니 천만원을 디파짓처럼 매도자가 저에게 보내는걸로 하고 다음날 짐 뺀거 확인하고 천만원을 돌려주는 방식으로
매수인 입장에서 하자 관련 특약 어떤게 더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구축 아파트 매매 계약 예정입니다. 하자 관련 특약 관련해서 찾아보니 보통 아래 둘 중 하나로 넣는 것 같더라고요. 두가지 중 어떻게 작성하는게 매수인 입장에서 더 유리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 범위에 대해서는 관련법규에 따른다. 중대 하자 발생 시 잔금일 이후 6개월은 매도자, 이후는 매수인이 책임진다. 1번의 경우 잔금일이
계약 시 중대하자(누수) 관련 특약 내용 한번 봐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첫 내집마련 계약을 앞두고 있습니다. 계약 전 부동산으로부터 특약사항을 받았는데, 중대 하자 특히 누수에 대한 것이 이렇게 들어가면 될지 문의 드립니다. 참고로 25년차 구축 아파트인지라 특히 하자 관련한 걱정이 크네요. <부동산에서 온 특약내용>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 범위에 대해서는 관련법규에 따른다. 제가 이것저것 찾아본 바로는 보통 잔금
전농SK 아파트 분석 보고서 [내집마련 기초반 56기 32조 명랑한카페]
과제 제목은 1강 과제에서 찾은 아파트 단지 중, 1개단지를 선택해 [단지 이름]을 넣어서 작성해주세요 *제목 예시 :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 아파트 분석 보고서 [내집마련 기초반 56기 1조 닉네임] 1. 내가 찾은 아파트 단지의 연식·세대수·매매가·전세가를 확인해요 *아래표를 편집해서 활용하세요 *매매가 전세가는 20평형 1개, 30평형 1개를 기재하세

[내마기 2강 강의 후기] 실전에 필요한 모든걸 배운 느낌이에요
매물 리스트업하면서 여기저기 보다보면 저마다 자기 아파트가 좋다. 앞으로의 호재가 크다는 말이 99%는 있더라고요 ㅋㅋㅋㅋ 강의 듣기 전에 호갱노노 등을 보면 거의 모든 아파트들이 이야기하는 ‘왜 이 아파트가 좋은지, 앞으로 뭐가 더 좋아질 것인지’에 대해 솔깃하기도 하고 흔들리기도 해서 거기에 대한 피로도가 많이 쌓여있었습니다. 열정적인 2강 강의를 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