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종사자수 추이(최신 데이터 반영) (서울, 수도권, 광역시, 지방, 중소도시 종사자수 추이/증감/변화) [담다보니]
안녕하세요. 한 채 두 채 천천히 담아갈 담다보니입니다 😊 최근 임보를 쓰면서 종사자수 추이를 살펴보는데 최근 자료를 찾아보던 중 발견하게 되어서 간단하게 나눔글 올리려고 합니다. (사업체수는 21년도 자료 밖에 없어서 기존에 올라온 자료 쓰려고 합니다) (아래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세요) 2018년 대비 2023년 종사자수 증감률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했습니

지방투자기초반 3주차 수강후기 [지방투자기초반 19기 매달 앞마당 만다는 습관 몸에 101조 메트리]
안녕하세요 배우고 성장하는 투자자 메트리입니다. 지방투자기초반 3주차는 권유디님이 강의해주셨습니다. 권유디님을 구해줘월부에서 뵌적은 있지만 강의를 듣는 것은 처음이었습니다. 본질에 대해 단단하게 강의를 해주셔서 내면에 큰 파장이 일었던 강의였습니다. 3주차 강의는 C지역에 대한 설명과 함께 왜 C지역을 지금 봐야 하는지, 투자로 연결되는 시세트래킹은 어떻게

[지방투자기초반 19기 매달 앞마당 만드는 습관 몸에 101조 터틀맨] 4주차 강의 후기 - 나는 오래하는 투자자가 된다!
드디어(?) 마지막 강의이다. 즐겁고 재미있긴 했지만, 한편으로는 강의에 임장에 과제에 치여 하루에 4~5시간 자는 날도 있었던 나였기에 이제 마침표를 찍고 잠시간은 쉬고 싶은 마음이었던 것 같다. 그래서 4주차 강의에 대한 기대는 다른 주차보다 덜했던 것 같다. 왠지 D이 거리감이 느껴져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어마어마한 군/구에 서울과 일반 지방도시와는
지방투자 기초반 1주차 수강 후기 [21기 47조 유미]
이번 강의에서 지방에서 소액 투자하는 방법과 A 지역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배울 수 있었고, 지방 지역을 어떻게 분석해야 할지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배운 점: 광역시 vs. 중소도시 투자 방식 차이 모든 지방이 같은 지방은 아니다.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투자 방법이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인지해야 하며, 이에 따라 투자 범위를 정확히 설
1주차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21기 47조 투앤투]
공급이 많은 지역에서의 투자를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이 있었는데 강의를 들으면서 조금씩 궁금증이 풀렸고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A지역은 선호하는 생활권이 뚜렷하게 나뉘어 졌다. 그렇다고 비선호하는 생활권은 투자를 못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활권마다의 특징을 알고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시세를 꾸준하게 모니터링을 해야겠다. 투자금에 맞는 단지
1강 강의 후기 [지기21기 47조 뽀비]
안녕하세요, 비교평가를 뽀개고 싶은 뽀비입니다 :) 1강 제주바다님의 강의 알차게 잘들었습니다. #지방투자의 핵심 지방투자에서는 상품성이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잘 고려해야한다는 게 기억에 남았습니다. 수도권이나 광역시 기준에서는 땅의 가치가 더 높기 때문에 상품성을 많이 고려하진 않았는데.. 지방으로 가면 땅보다 연식이 더 중요할 때도

임보 쓸 때마다 단지분석 장표를 고민하게 돼요! 네! 저도 고민입니다! (+양식공유) [호이호잉]
안녕하세요! 유연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매력적인 투자자 호이호잉입니다'◡'✿ 매번 임보쓸때마다 ‘가장 효율적인 단지분석은 뭘까?!’ ‘정말!! 다해야하는걸까?’ 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단지분석!! 네!! 저도 매번 고민이었습니다ㅠㅠ!! 그래서 임보 5개, 10개, 10개이상 쓰면서 디벨롭해보았고! 최종 단지분석장표 추천양식을 공유드려봅니다💛 꼬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