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꿈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미니드리밍입니다~
오늘은 제가 월부에서 처음으로
식빵파파 튜터님을 뵈었고,
처음으로 강의를 들었는데요.
A지역을 너무나 명쾌하게 설명해주셔서
이 지역이 앞마당이 아닌 수강생들에게도
아주 큰 도움이 될 강의였습니다.
지금 당장은 투자가 가능하지 않지만
조금씩 기회가 다가오고 있음을
강조해 주셨는데요~
A지역에 처음 임장 갔을 때가 생각나네요~
너무나 많이 하락해서
정말 꼭 투자하고 싶은 지역이었는데,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어
결국은 마음을 내려 놓았던 지역이었거든요. 근데 사실상 임장갔을때 생각이 잘 안 나요. ㅋㅋㅋ
그런데 점점 기회가 오고 있다니
너무나 가슴이 설레었습니다.
1)A지역은 지역 자체는 인구수도 많고,
소득수준이 높은 거주민들이 많이 사는 지역인데요,
그런데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는
타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었습니다.
이런 지역의 특징은
지역내 총생산(GRDP)보다
지역민 총소득(GRNI)이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비록 양질의 일자리는 적어도
거주민의 소득이 높아서
집값이 상승할 때 화끈하게 오르는 것이었습니다.
이처럼,
지역에 대해 조사하며 임보를 작성할 때
내가 이 자료를 왜 조사하는지,
이 자료를 통해서 어떤 해석이 가능한지,
그 자료 해석이 투자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배울 수 있는 시간이어서 너무나 유익했습니다
그 동안은 임보의 템플릿에
지방 지역들의 정보들을
하나하나 채워넣기에 급급했다면,
이번 강의를 통해서
각 도시 마다의 중요 입지가 다름을 알고,
그에 따른 투자 전략을
다르게 가져가야 함을 알았습니다.
A지역의 투자 전략 핵심 요소는 3가지였는데요.
같은 조건이라면 이 핵심 요소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이 가격으로 반영되는 것을 보면서
지역 분석시, 핵심선호요소 파악이
중요하겠구나! 느껴진 대목이었습니다.
현재 임장지에서의 핵심 선호요소가
무엇일까를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야 겠습니다.
지방은 빈땅이 많고,
선호도가 분명히 갈리기에
저가치와 저평가 단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려주셨는데요~
그것은 매매, 전세가의 흐름을 보고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 지방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 주셨는데요..
지금 지방은 너무하다 할 정도로 싸다고 해요~
'지방은 수도권만큼 못 오를거야'
'지금은 수도권이 싸니까 수도권을 봐야 해
그런데 투자금이 없으니 수도권은 못 할 거야'
등 여러가지 생각이 저를 지배해 왔던 것 같아요.
튜터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투자금이 적다면 지방을 보는 게 맞는데
제가 지금 욕심을 부리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안되는 것에 집중해서는
아무것도 행동할 수 없다는
튜터님의 말씀이 너무나 와 닿았습니다.
남들이 다 하는 기준이 아닌
나의 상황에 맞는 투자를 해야 함을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고통을 잘 견뎌
씨앗들을 잘 심어서
미래에 달콤한 열매를 얻을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해야겠습니다.
소중한 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
미니드리밍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