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 BEST READER 31_오리진] 독서 후기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23.09.26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아주 작은 습관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제임스 클리어

3. 읽은 날짜: 2023.09.22-26

STEP2. 책에서 본 것

#신호 #열망 #반응 #보상 #반복

모든 습관은 위 4단계의 순환이다. 이 법칙을 더 나은 습관을 만드는데 이용하는 방법은 1.분명하게 만들고 2. 매력적으로 만들고 3. 하기 쉽게 만들고 4. 만족스럽게 만드는 것이다. 이 방법들을 통해 습관이 정착하도록 길들이고, 그 습관이 반복되고 자동화 되도록 만들면 인생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STEP3. 책에서 적용할 점

적용할 점이 너무 많다. 사실상 각 챕터에서 제안하는 거의 모든 것들을 실행해야 좋은 습관을 삶에 뿌리내리고 나쁜 습관을 가지치기 할 수 있지 않을까.


  1. 습관 점수 표 작성
  2. 습관에 시간과 장소 부여해서 실행 의도 세우기 (나는 ‘언제’’어디서’’어떤행동’을 할 것이다.)
  3. 습관 쌓기 (나는 ‘현재의 습관’을 하고나서 ‘새로운 습관’을 할 것이다)
  4. 환경 재배치 (한 공간에서는 한 가지 일만)
  5. ‘동작’ 에서 그치지 않고 ‘실행’ 한다.

STEP4.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37) 성공은 일상적인 습관의 결과다. 우리의 삶은 한순간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이 성공으로 가는 경로에 있느냐는 것이다. 현재 일어난 결과보다 지금 어디에 서있느냐가 훨씬 더 중요하다.

결과는 그동안의 습관이 쌓인 것이다. 순자산은 그동안의 경제적 습관이 쌓인 결과다. ~ 우리는 우리가 반복해서 했던 일의 결과를 얻는다.

(P. 46) 영원히 개선하고자 한다면 결과가 아니라 시스템 단계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입력 값을 고쳐야 결과 값이 바뀐다.

(P. 48) 목표 설정의 목적은 게임에서 이기는 것이다. 반면 시스템 구축의 목적은 게임을 계속 해나가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보다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개선하고 발전해나가는 순환 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즉, ‘과정’에 전념하는 것이 ‘발전’을 결정한다.

(P. 96) 이 행동은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될 수 있게 하는가?

(P. 119) 습관은 모두 어떤 신호에 의해 시작된다. 우리는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신호를 더욱 잘 알아차리는 경향이 있다.

(P. 123) 경쟁 신호들을 눈 앞에 둔 상태에서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것보다 새로운 맥락에 연결시키는 것이 더 쉽다. 과거의 환경 신호와 다투지 말고, 방해꾼 없이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라.

전반적으로 새로운 환경에 접근하기 힘들 때는 현재의 환경을 다시 설계하거나 배치해보라. 일하고, 공부하고, 운동하고, 취미 생활을 하고, 요리하는 공간을 분리하라. ‘한 공간에서는 한 가지 일만’ 이다.

(P. 129) 엄청난 자제력을 지닌 사람들은 전형적으로 자제력을 발휘할 필요를 최소화 한 사람들이다. 인내, 열정, 의지는 성공의 근본적인 요소이지만 이런 자질들을 더 규율 잡힌 사람이 아니라 더 규율 잡힌 환경에서 더 잘 발휘된다.

(P. 133) 올바른 행동을 하고 싶을 때마다 의지를 새로이 투입하지 말고 자신의 에너지를 환경을 최적화하는 데 써라. 이것이 자제력의 비밀이다. 좋은 습관을 불러오는 신호들을 분명하게 드러나게 하고, 나쁜 습관을 일으키는 신호들은 보이지 않게 하라.

(P. 158) 더 나은 습관을 세우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자신이 원하는 행동이 일반화된 집단에 들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습관을 들이고 싶다면 그런 습관을 지닌 사람들 사이에 있어라. 그러면 함께 성장할 것이다.

(P. 192) 습관이 자동화되려면 얼마나 오래하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자주 반복하느냐가 중요하다. 중요한 것은 행동을 수행하는 비율이다.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은 횟수다. 우리의 현재 습관은 수백 수천번 반복하는 과정에서 내재화된 것이다. 새로운 습관 역시 그만큼의 반복이 필요하다. 행동이 정신 속에 완전히 내장되고, 습관 한계선을 넘어설 때까지 성공적인 시도들을 충분히 엮어내야 한다.

(P. 211) 하루하루는 수많은 순간들로 이루진다. 하지만 정말 극히 적은 습관적 선택들이 우리가 갈 길을 결정한다. 이런 선택들이 쌓이고, 그 하나하나가 다음에 어떻게 시간을 보낼지에 대한 궤적을 만들어낸다.

(P. 213) 시작 지점에서부터 완벽한 습관을 만들려고 애쓰는 대신, 쉬운 일을 더욱 지속적으로 행하라. 시작을 쉽게 하라. 나머지는 따라올 것이다.

(P. 242) 거의 모든 분야에서 성공은 지연된 보상을 선호하고 즉시적인 보상을 무시할 것을 요한다.

(P. 255) ‘절대로 두번은 거르지 않는다.’

나는 완벽할 순 없지만 두번째 실수는 피할 수 있다.

처음의 실수가 절대 나를 망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뒤이어 또 실수할 수 있다. 한 번 거르는 것은 사고다. 두 번 거르는 것은 새로운 습관의 시작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실패했을 때 빨리 되돌아온다. 빨리 회복한다면 습관이 무너진 것은 중요하지 않다.

문제는 실수하는 것이 아니다. 완벽하게 하지 못하면 전부 소용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댓글


오리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