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 버는 독서 모임] 자본주의 독서후기

  • 24.06.11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EBS자본주의제작팀 및 가나출판사

읽은 날짜 :  24년 5월말~6월초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자본주의   #금융상품   #소비마케팅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EBS PD와 작가가 자본을 가지고 살아 가는 지금 이 시대 이전의 자본의 역사부터 전체적인 자본주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돈이란 무엇이며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세대에 자본주의라는 이 본질을 모르면 아무런 불빛도 없이 깊은 터널에서 아무 방향으로나 뛰어가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설명과 동시에 자본주의 세계라는 깊은 빛이 없는 터널속을 지나가는 데에 이 책을 통해 빛을 비출 수 있을 거라고 소개하고 싶다.


2. 내용 및 줄거리:

PART 1.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찾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고 그 돈을 다시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은행은 있지도 않은 돈을 만들어 내기도 하고

결국 돈을 빌린 사람은 빚을 지고 또 이자를 갚고 계속되는 돈의 흐름.

누군가는 이 비밀을 이용하여 부자가 되지만 누군가는 이 비밀을 모른 체 오늘도 살아가고 있다.


PART 2. 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들의 비밀

 : 보험,저축,채권,적금, 등 이러한 금융상품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투자라는 것은 우리의 돈을 지켜줄 수 있을까? 내가 가지고 있는 금융상품들은 안전할까? 고민하게 된다.

결국 금융지식을 가지고 살아야 내 돈을 아끼고 내 돈을 지킬 수 있다.


PART 3.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

 : 돈을 벌기 위해 연구하고, 돈을 쓰게 하기 위해 연구한다. 내가 보고 있는 지금 이것이 내 주머니에서 돈이 나가게 하는 것이라는 것을 더 생각하게 된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통해, 나의 힘든 마음을 통해, 소비로 위로 받으며 돈을 쓰고 싶게 만든다. 소비할 수 있게 만드는 마케팅은 지금도 나의 친구, 나의 마음, 불안을 통해서 나도 모르게 지갑을 열게 하고 있다.


PART 4.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 자본주의 경제 사상은 큰 부를 가지게 만들기도 하였지만 모두가 다 잘 살 수는 없었다. 잘 살기 위해 쉬지 않고 일하여도 부의 양극화는 계속되고 있다. 자본주의라는 약점(모두가 다 부를 가지고 살 수 있을까?) 경제,돈,분배의 시스템이 아니라 ’사람’ 을 봐야 한다는 것. 정부의 역할과 시장의 역할의 문제에 대해 계속 이어지고 있다.


PART 5. 복지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 자본주의가 계속 됨에 따른 문제를 마르크스,케인스,하이에크 등이 지적 했던 문제들 자본주의 시스템은 실상 모두가 행복한 것이 아닌 가난한 사람을 양산하는 시스템, 윤리가 사라진 소득의 불균형과 불평등의 해결이 필요하다. 여기서 정부의 역할은 무엇일까 가난한 사람을 무조건 혜택을 주고 퍼준다고 해서 이것이 해결될 문제 일까. 가난한 사람들이 많으면 결국 돈이 더 많이 든다고 한다. ‘생산적인 복지’, ‘건강한 복지’ 를 가진 자본주의 시대를 만들어 가자.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나를 부의 길로 인도함에 있어서 이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을 더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앞으로 살아감에 있어서 중요한 것을 알고 갈 수 있게 되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자본주의와 금융상품에 대한 내용은 유투브 및 책을 통해 접하게 되어 대략적으로 나마 알고 있었지만 소비에 대한 마케팅 내용에 대해서 공감하는 내용들이 많았다. 책에서 말하는 소비를 하게 만드는 내용이 지금의 딱 나에 대해 말한 내용인 것 같았다.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이 아무래도 자존감이 떨어지고, 앞날에 대해 불안하니 최근 “돈이라도 쓰면 좀 더 행복할까?” 하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상품들을 보면서 괜히 필요한 것 같다고 생각하여 소비를 하게 되며 결국 세상에 보여지는 모든 상품(금융상품에 관련된 보험,펀드,투자상품 등 포함) 은 나에게 정말 필요한 것인지 느끼게 되었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268 소비와 행복은 결코 정비례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떤 소비가 행복한 소비일까? (책에서 교수님은 돈을 쓰는 소비보다는 내 삶을 풍요롭게 하는 어떤 삶의 경험에 투자하는 쪽이 훨씬 더 오래 기억되고 또 그 만족감과 행복감도 오래 지속 된다고 하였다. 이것은 자신을 위한 배움과 교육인 것일까? 또 욕망을 줄인 소비를 하면 행복감이 늘어난다고 하였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베르나르 리에테르 [돈의 비밀]



댓글


똑부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