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읽은 날짜 : 2024.6. 8~9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빚(선) #감정(소비) #은행(자본주의시스템)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 저자 및 도서 소개
: EBS미디어. 정지은 고희정 지음
금융, 소비. 돈에 관한 33가지 비밀
희망사항이 아닌 안정과 행복을 원하는 현실에서 '자본주의'의 진실을 알아야 할 이유
나의 행복과 내 가족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
2. 내용 및 줄거리
: 돈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고 생존이 위태로워지는 사회,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세상에서 정작 우리가 모르는 돈에 관한 비밀, 학교에서도 제대로 가르쳐 주지 않는 실물 경제, 왜 금융 위기가 생겨나는지, 왜 경기가 침체되는지에 대한 모든 의문을 관통하는 근본적인 원리 '자본주의'를 이해하여 어떻게 힘겨운 난국을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지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피해야 할지 판단할 능력과 자본주의 속에서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통찰을 심어준다
금융,소비,돈에 관한 33가지 비밀
part1)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1) 물가는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
2) 은행은 있지도 않은 돈을 만들어 낸다
3)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찾지는 않는다
4) 중앙은행은 끊임없이 돈을 찍어낼 수 밖에 없다
5) 인플레이션의 거품이 꺼지면 금융위기가 온다
6) 내가 대출이자를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하낟
7) 은행은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대출해 준다
8) 달러를 찍어내는 FRB는 민간은행이다
part2) 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9) 재태크 열기는 우리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10) 은행이란 수익을 내야 하는 기업일 뿐이다
11) 8%의 이자를 주는 후순위채권의 비밀
12) 은행은 판매수수료가 많은 펀드를 권한다
13) 보험, 묻지도 따지지도 않다가 큰코다친다
14) 파생상품은 투자를 가장한 도박과 같다
15) 저축만으로는 행복해질 수 없다
16) 금융지능이 있어야 살아남는다
part3)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
17) 어릴 때부터 우리는 유혹당한다
18) 쇼핑할 때 여자는 훨씬 감정적이다
19) 보안용 cctv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20) '사고 싶다'고 느끼면 '필요한 것' 같다
21) 소비는 불안에서 시작된다
22) 필요하지 않으도 친구가 사면 나도 산다
23) 과소비는 상처받은 마음이다
24) 자존감이 낮으면 더 많은 돈을 쓴다
part4)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25) 금융위기는 반복해서 일어난다
26) 노동만이 최상의 가치다_아담 스미스의 [국부론]
27) 쉬지 않고 일해도 왜 가난한가_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28) 실업률을 낮출 정부의 개입을 권하다_케인스의 거시경제학
29) 정부가 커지면 비용도 늘어난다_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part5) 복지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30) 국민소득이 오르면 내 소득도 오른다?
31)'복지=분배'는 오해다
32) 복지는 창의성의 원천이다
33) 시장도 정부도 아닌 국민이 주인이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금융자본주의라는 말은 노동력을 중심으로 하던 자본주의에서 금융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로 전환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돈이 돈을 버는 만드는 사회가 시작되었고 이는 바로 투자라는 과정을 거치며 가능해졌다. 투자라는 명목으로 수많은 돈이 한꺼번에 은행으로 들어온다 그래야 은행은 그 돈을 굴리면서 또 다른 돈을 벌 수 있다. 돈으로 굴러가는 사회가 아니라 '돈을 창조하는 사회'라고 해야 정확할 것이고 그 핵심에 은행이 있다 은행이 있기 때문에 돈의 양이 늘어나고 물가가 오른다. 통화량이 늘어나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 뒤에는 모든 것이 급격하게 축소되는 디플레이션이 온다 정부는 통화량 증가에 제동을 걸고 사람들은 불안과 혼동속에서 소비를 줄이게 된다 디플레이션이 시작되면서 돈이 돌지 않아 기업의 생산과 투자 일자리를 동시에 줄이기 시작하고 서민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린다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과도 같은 일이다.
은행은 대출을 통해 돈을 만든다 이자를 위애 돈을 만들지 않는다 내가 이자를 갚으면 누군가의 대출금을 가져와야 한다는 뜻이다 돈이 적게 돌기 시작하면 누군가는 이자를 갚을 수 없는 상황이 다가오는 것이다. 돈이 부족해지면 디플레이션이 오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본주의 체제에서 이자가 없다는 말은 누군가는 파산한다는 말과 같은 뜻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돈은 빚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현 은행 시스템은 아이들의 의자 앉기 놀이와 일치한다
이렇듯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시스템에서 생존하기 위해 살아 남기 위해 무슨 일이든 하는게 일이 없는 것보다 낫다 경험 제시간에 나가는 것 낮은 자리에서 시작해서 승진하는 능력 이런 것들이 노동을 아예 안하는 것 보다 나을 것이다 자본주의 세상에서는 추운 겨울을 지내고 나면 따뜻한 봄이 오기 때문이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자본주의 구조 안에서 돈은 빚이다
독립재정상담사
FRB
어린 시절 형성된 습관의 산물로 소비하게 된다는 것
뉴로마케팅
슬픔 불안 우울 외로움이 소비를 부추긴다
국부론과 자본론, 아담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공통점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었다는 점. 어떻게 하면 모든 사람이 잘 살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 p.374 복지를 해야만 자본주의가 붕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건강한 복지.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자본주의 사용설명서
댓글
옥그릇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