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 버는 독서 모임] 자본주의 - 독서 후기

  • 24.06.1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EBS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EBS <자본주의>제작팀 정지은 고희정

읽은 날짜 : 2024. 5. 30 ~ 2024. 6. 1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빚   # 소비는 감정이다    #금융자본주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



1. 저자 및 도서 소개  

: EBS 다큐프라임 제작팀



 2. 내용 및 줄거리

 : 자본주의의 본질에 관하여 세계적인 석학들과의 인터뷰와 함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가는 내용


[PART 1]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p23 자본주의는 이 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이 없다 아니 보다 정확하게는 돈의 양이 끊임없이 많아져야만 한다. 그걱시 바로 자본주의 사회이다


p33 물가가 오르는 근본적이 원인은 소비가 늘어나기 때문도 아니고 기업들이 더 많은 이익을 취하기 때문도 아니다 그것은 바로 은행 때문이며 은행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자본주의 시스템때문이다


p63 내가 이자를 갚으면 누군가의 대출금을 가져와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현대의 금융 시스템에서 빚을 갚는 것은 개인에게는 좋은 일일지 모르지만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 돈이 적게 돌기 시작하면 누군가는 결국 이자를 갚을 수 없는 상황이 다가오는 것이다 결국 자본주의 체제에서 이자가 없다는 말은 누군가는 파산한다는 말과 같은 뜻이라고 할 수 있다


[PART 2] 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p 101 금융자본주의라는 말은 노동력을 중심으로 하던 자본주의에서 금융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로 전환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 노동력이 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닌 돈이 돈을 만드는 사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p 115 은행은 그저 기업일 뿐이다 은행은 당신의 친구도 아니고 조력자도 아니며 이웃도 아니다 그저 당신에게 금융상품을 팔고 그것으로 수익을 올리면 되는 회사일 뿐이다


p117 모든 상품은 장단점이 있게 마련이란 사실을 인식하고 그 상품의 수익률과 함께 위험성데 대한 설명도 반드시 들어야 한다 모르면 묻고 이해가 될 때까지 질문해야한다


p167 돈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은 청소년의 자립심을 떨어뜨려서 결국 나이가 들어도 계속 부모에게서 금전적인 독립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 수도 있다


p169 개인이나 가계의 금융 의사결정은 개개인이 지닌 금융이해력에의해 좌우되는 것이다 ~ 이제ㅐ 금융에 관한 지식과 활용 능력이 빈부 격차를 더 벌려놓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금융이해력은 우리가 갖추어야 할 필수능력이다


[PART 3]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


p197 소비 습관은 내가 자발적으로 키운 것이 아니라 바로 마케터들에 의해 길들여진 것이다


p203 성인이 된 우리의 소비 습관과 성향은 이미 수십 년간 진행되 키즈 마케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p217 소비자들은 필요한 것을 구매하는 사람이 아니라 필요하지 않는 것까지도 소비해 자본주의의 잉여생산물을 떠맡는 사람이 되어주어야한다.


p248 남에게 배척당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 그것에서 벗아나 어떻게 해서든 소속감을 가지고 싶다는 것이 소비의 동기가 되고 자신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소비할 수밖에 없는 과소비 상태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p272 행복은 소비를 욕망으로 나눈 것 이라는 행복지수 공식 ~~~ 유한한 소비를 늘릴 수 없다면 우리는 욕망을 줄여야 한다 욕망을 줄이면 편안한 행복이 온다


[PART 4]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p283 자본주의가 수정되거나 변화되지 않는 한 그리고 우리가 이 자본주의에서 살아가는 한 이러한 위기는 끊임없이 되풀이 될 수 밖에 없다


p299 아담스미스 인간의 도덕적 범위 내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시장 체제 ~~ 국민 대부분이 가난하고 비참한 생활을 하는데 그 나라가 부유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PART 5] 복지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p351 행복은 어느 사회에서나 같습니다 자신이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기회입니다


p371 현대 자본주의가 낳은 양극화 불평등 빈부격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지자본주의가 필요하다


p372 우리가 해야 할 복지는 퍼주기식 복지가 아니다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생산적인 복지이며 약자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건장한 복지이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자본주의에 대하여 조금 더 이해할 수 있었고 나와 가족 이웃을 위해 어떤 사회를 이루어 나가야 하는 지 깊게 생각하게 됨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1.  자본주의의 기본개념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2. 돈이란 국가가 발행하고 은행은 돈을 맡기는 곳이라고 생각했는데 잘 못 된 생각이었다
  3. 소비가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감정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깨달았다
  4. 노동만의 가치를 지닌다는 생각이 틀렸다는 것과 왜 열심히 일하는 데도 나아지지 않는지 알게되었다
  5. 국민의 삶을 위하여 국가는 어떤 일의 하여야 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댓글


아침안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