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회복탄력성] 독서후기

  • 24.06.16

🚩 이 책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 강력한 회복탄력성을 형성하여 어떠한 실패나 역경 속에서도 그것을 도약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게 하자


책 내용 및 생각 정리하기


[ ✍회복탄력성 p.58 ] 이유 없이 내어준 사랑이 회복탄력성의 근원이다.

  1. 아이는 사랑 없이 강한 인간이 되지 못한다.
  2. 이런 모든 사람들이 결국 그의 인생의 ‘완충 보호장치’인 셈이며 회복탄력성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고 스스로를 진단했다.
  3. 어른도 그렇다. 사랑과 지지 없이 난관을 헤치는 것이 어른이라고 쉬울까. 동료들을 사랑하고 지지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 ✍회복탄력성 p.68, p.81 ] 회복탄력성,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해라

  1. 변화하는 상황에 알맞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다.
  2.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실수에 대해서는 스스로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뇌를 지닌 사람이다.
  3.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은, 다가오는 변화와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거나 두려움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이 기반된다고 생각한다.


[ ✍회복탄력성 p.78 ] 메타인지를 통해 자신의 실수에도 정확한 사람

  1. 한 개인이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능력은 바로 스스로의 수행에 대해 평가하고 정확하게 답할 수 있는 능력이다. 즉 “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할 수 있는 능력이다.
  2. 스스로의 수행을 정확히 평가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더 노력할 수 있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실수를 금방 알아차리고 이를 수정하려면 ‘열린 자세’를 지닌 뇌를 소유한 사람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3.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실수에 대해서는 스스로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뇌를 지닌 사람이다.


[ ✍회복탄력성 p.117~p.128 ] 긍정적 마음의 힘

  1. 스스로 불행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더 평가절하하고, 편견에 사로잡혀서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 긍정적인 감정은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으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한다는 사실이 실증적으로 밝혀진 것이다.
  2. 중요한 순간에 스스로에게 ‘사탕’을 주어서 긍정적 정서를 불어일으키는 것이 습관화된 사람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는 뜻이다.
  3.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어떤 중요한 일이 발생했을 때 스스로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 ✍회복탄력성 p.122~p.138 ] 결핍과 성장 욕구

  1. 매슬로우에 따르면 사람을 움직이는 데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동기가 있다. 하나는 부족한 것을 채우려는 ‘결핍 동기’와 다른 하나는 보다 나은 자기 모습을 위해 노력하려는 ‘성장 동기’다.
  2. 충동통제력은 자신의 보다 나은 모습을 위해서 즐거운 마음으로 꾸준히 노력할 수 있는 성장지향적 자기조절 능력을 의미한다.
  3. 한국인들은 해야 할 모든 일을 일단 ‘참아내야 할 고통’으로 간주하는 습관에 젖게 된다.
  4. 학문과 공부의 즐거움을 가르쳐야 한다. 공자도 논어의 첫 머리에서 “배우고 익히면 또한 희열을 느끼지 않겠는가”라고 이야기했다. 공부의 목적이 권력이나 지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짜릿할 정도의 기쁨, 곧 희열에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5. 산에 오르는데, 정상에 오르는 것만이 목적인 사람은 정상에 오르기까지 한걸음 한걸음이 모두 고통으로 다가온다.
  6. 그러나 나의 삶은 어디 먼 미래에 있는 것이 아니다. 하루하루, 한순간 한순간의 적분이 곧 나의 삶이다.
  7. 꾸준히 노력할 만큼의 결핍이 부족한 것 같아 보이튜터님께 여쭤본적이 있다. “결핍이 부족하다면 욕망을 2배로 키우세요” 욕망이 2배인 삶을 살자. 성장하고 하는 바램 또한 내가 바라는 욕망이다


[ ✍회복탄력성 p.140 ] 분노와 좌절 또한 내 마음에 따라 달렸다.

  1. 나의 분노나 좌절의 근원은 내 머릿속에 있음을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
  2. 분노와 좌절에게 관심주지 말자. 자기연민일 뿐이다. 세상을 멀리 바라볼 수 있는 긍정적이고 건강한 시선만이 행복한 미래를 꿈꾸게한다.


[ ✍회복탄력성 p.184~p.185 ]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림으로서 나 자신 또한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

  1. 공감을 위해서 꼭 필요한 능력은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릴 수 있는 역지사지의 능력이다. 입장을 바꿔서 상대방의 입장에서 사물을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은 소통과 인간관계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다.
  2. 너와 나는 사실 동전의 양면이다. 너와 구분되는 나, 나와 구분되는 너. 너의 입장을 헤아리는 순간 우리는 주체로서의 자아를 확립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3. 공감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때때로 차분히 앉아서 자기 자신을 돌이켜보는 반성 혹은 명상의 시간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감정이나 내 생각의 흐름을 스스로 돌이켜보는 것만으로도 뇌는 공감능력과 역지사지의 능력을 발휘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자기이해지능과 대인관계지능은 이처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회복탄력성 p.191 ] 경청하라

  1. 성공적인 소통의 핵심은 말을 잘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잘 듣는 데 있다.
  2. 나의 백마디 말보다 다른 이의 열마디가 더 이로울 때가 있다. 혹시 내가 열변을 토하고 있다면, 입을 다물고 잠깐 숨을 골라보자. 상대방의 입술에 집중하자.


댓글


조징2
24. 06. 16. 20:29

오~ 저도 회복탄력성 읽고 있는데.. 만평이님 독서후기 훌륭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