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1. 부동산의 입지 - 직장
1) 직장
2) 교통
3) 호재/악재
4) 브랜드
2. 부동산의 입지 - 직장
1) 강남 접근 노선
2, 3, 7, 9, 신분당선
2) 시청 접근 노선
1, 2, 3, 5, 6
3) 영등포, 여의도 접근 노선
1, 2, 5, 9
- 2, 3, 9, 신분당선
4) 평가 기준
- S등급 : 강남 30분 이내(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동작구, 용산구, 성동구, 용산구, 성동구, 과천, 판교 등)
- A등급 : 강남 1시간 이내, 종로, 여의도, 구로 등 30분 이내(서울시 전역, 성남(분당), 하남, 안양, 의왕, 광교, 동탄)
- B등급 : 종로, 여의도, 구로, 판교 등 1시간 이내(부천(중동), 고양(일산), 수원, 구리, 산본, 인천 남동구 등)
3. 부동산의 입지 - 학군
고등학교 학군보다 중학교 학군이 중요하다.
중학교 학군의 판단 : 학업 성취도, 특목고 진학률
- 서울(강남, 서초, 양천, 노원, 송파)
- 경기(성남, 화성, 수원, 용인, 고양)
- 지방(공주, 청주, 제주)
4. 부동산의 입지 - 환경
- 환경 만족 요소 : 공원, 백화점 등 편의시설, 동네 분위기, 거주 연령(3~50대)
- 환경 불만족 요소 : 혐오시설(교도소, 쓰레기 매립장), 비행지역, 외국인 주요 거주지역, 저소득층 거주지역, 60대 이상
5. 부동산의 입지 - 호재/악재
- 대표적인 호재 : 직장, 교통
- 입지를 개선 시키는가?
- 확정된 것인가?
- 3년 이내의 것인가?
- 불황 > 호재
6. 부동산의 입지 - 브랜드
7. 부동산의 입지 비교
- 매매/전세
- 직장
- 교통
- 학군
- 편의시설
- 입지독점성(주위에 대체할 빈 땅이 있는지?)
댓글
페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