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너나위의 나긋나긋이 본 모습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상남자@_@
구해줘월부에서도 우는 모습을 자주 보았고 강의에서도 울길래,
자본주의의 강사가 아닌, 찐으로 선생님의 마인드구나 싶어 더 열심히 들은것 같다.
사실 내집마련보다는 투자를 목표로 하고 있기에
아너스로가는 길목에서 선택한 강의였고,
결국 투자든 내집마련이든 집을 사는 행위는 마찬가지이니
배울수 있는건 제대로 취하고, 먼미래에 내집마련에도 잘 써먹어야지 싶었다.
수도권 전세가가 몇주동안 상승하고, 전고점을 몇% 회복했다라는 뉴스를 보면
조급한 마음만 생겼던것 같다.(아직 투자의 “투”도 모르면서ㅠ)
그리고 출산율이 0.7명이니 역대최저니 하는 뉴스를 자주 접하다 보니 인구감소에 따른 걱정이 많았다.
부동산 기초상식 부분에서 나의 걱정이 어느정도 해소가 되었다.
‘미래를 예측하지 말고, 대응하라.’
집값의 상승/하락이나 인구감소는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고
현상에 대해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그에 맞게 대응을 해야겠다.
내집마련 기본 부분에서 대출의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서
상황에 맞게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 확실히 알게되었다.(못들었으면 큰일날뻔!)
'원금균등상환 vs. 원리금균등상환'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대출한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얼마전 은행가서 "주담대 풀로 받으면 얼마까지 받을수 있나요?" 라고 물었던 내가 부끄러웠다.
다른게 아니라 이것도 영끌이구나……
5가지 스텝으로 한도 금액을 확인하고 가장 ‘적은’금액으로 결정해야
감당가능한 대출! 이 되는 것이었다.
주담대는 상환기간이 기본 30년, 40년씩되는데,
현재의 소득이 30년, 40년 이어진다면 상관이 없지만,
현실은 10년?? 정도라고 생각을 하고 있어서,
주담대를 하더라도 갚아나갈 수 있는지, 결국엔 아파트를 팔아야만 하는것인지 불안했다.
강의 내용중에 *120(*150) 하는 부분이 있는데,
적어도 10년이면 다 갚을수 있을 정도로만 대출을 사용하라는 거구나!
나의 앞날까지 걱정하는 세심함이 느껴졌다.
앞으로의 강의들도 넘나 기다려진다, 내집마련은 왜 3주인거지?! (앞으로 4주 부탁드립니다.)
댓글
써리언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