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일단 코크드림님 유튜브에서 많이 뵈었던 분이더라고요. 깜짝 놀랬습니다. 그 전까지는 약간 저에게 있어서 닉네임은 많이 들어봤지만 얼굴은 모르는 미지의 인물로 여겨지고 있었네요. 월부 유튜브 채널 가끔 출연하시는 것 봤는데 거의 너나위님이 말을 많이 하시니까 코크드림님이 이렇게 깊이가 있으신 튜터 분이라는 걸 생각도 못했어요. 이번 3주차 강의는 한 6시간 정도 되는 강의 였지만 너바나님 열반 기초 급으로 알찼네요.
임장 지역 선정 법 부터 시작해서 투자 매물 설정 방법은 열기, 열중 두 차례를 거치면서 정말 많이 들었었지만 시세트래킹, 인테리어와 같은 내용은 저에게는 많이 생소한 내용이에요.
<임장 기역 선정 기준>
지난 3개월간 가장 고민을 많이 했던 부분이에요. 첫 번째 앞마당의 경우 쉬운 임장을 위해 제 집 근처인 수원시 영통구로 선정했지만 그 이후에는 임장지를 어떤 기준을 가지고 선정해야 하나 고민을 굉장히 많이 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제가 가는 곳 중에서 제 종잣돈을 가지고 커버할 수 있는 곳이 얼마 없어 선택의 폭이 넓지 않은데요. 이 부분이 대체로 지역의 급지 부분에서 많이 해소가 되었습니다. 2번째 ~ 5번째 앞마당은 부천, 산본, 일산, 구로로 정했어요.
<투자 물건 선정 시 지역별 우선순위>
수도권, 광역시, 중소도시 별로 입지 우선순위가 다르다는 것은 알았지만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알게 된 건 이번 시간이 처음이에요. 생각보다 중소도시에서는 학군이 크게 중요하지 않고 환경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이 충격이네요. 그리고 광역시에 수도권 분당, 수지 급으로 학군이 좋은 학교가 이렇게 많다는 걸 처음 알았네요.
<시세 트래킹>
시세 트래킹을 어떻게 해야할지 항상 궁금해하고 있었는데 한 정규 챕터로써 들을 수 있어서 좋았네요. 일단 가치는 호재가 있는 경우가 아니면 크게 달라지지 않지만 가격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시세 트래킹이 중요하다라는게 핵심이었고요. 어떤 단지들을 시세 트래킹해야 하는지 또한 안내를 잘 해주셔서 이 강의를 듣자마자 임장 보고서 제쳐두고 시세 트래킹 양식을 1시간 반동안 작성했어요.
<전세 세팅>
열중반에서 전세 세팅 방법에 대해 배운 적이 있어요. 그때 양파링님으로 부터 배웠던 걸로 기억나는데 너무 강의력이 좋으시지만 나란 놈이 받아 들이기에는 내가 아직 그릇이 많이 작구나를 깨닫게 해주었어요. 정말 이 부분은 경험하지 않고선 알아듣는 거에 한계가 있더라고요. 그래도 저번 주에 네이버 부동산을 보면서 시세 분석을 했고 1~3층, 최고층의 가격이 싸다는 것과 수리 매물이 조금 더 전세가가 높다는 점을 확인해보며 전세가를 어떤 식으로 세팅해야 할지는 감이 오기 시작하더라고요.
특히 전세가 맞춰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Plan-B도 미리 세워놔야 되겠어요.
<인테리어>
개인적으로 인테리어를 어떻게 해야할지 아예 몰라 특강을 검색하고 있었는데요. 실준반에서 가르쳐준다는 것을 알게 되니 너무 안심이 되네요 ^^. 특히 전 섀시 수리 비용이 이렇게 드는 지 몰랐어요. 인테리어의 핵심 내용은 쓸데없는 가구 쳐내기, 그리고 심플한 화이트톤으로 모두 교체하기 였던 것 같네요. 특히 매물 10개 비교하기도 힘든데 인테리어 업체 10개 불러서 견적 받는 것도 얼마나 어려울지 가늠이 안가네요.. 그래도 해봐야죠…어쩔 수 없이
임보 때문에 집에서 진득하게는 못 듣고 출퇴근 시간에 지하철에서 들었어요.. 필기를 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고 최대한 집중해서 들어야만 하는데도 중간에 피곤해서 정신이 잃었던 적이 있는데 그래도 그 정신 없는 와중에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가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도 코크드림님의 강의 들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집나와라뚝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