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어제보다 오늘 더 성장하고 싶은 완두콩즈 입니다~
이번에 식빵파파님 강의를 처음으로 듣게 되었는데요, 정말 귀에 쏙쏙!!! 한번도 가보지 못하고 잘 알지도 못했던 C지역에 대해 마치 다녀온 것 같이 생생해서 너무 감사한 강의 였습니다.
얼마나 열심히 준비하신건지 느껴졌어요!
이번 강의에서 깨달은 점
1) 그동안 임장보고서 작성할때 교안에 있는 순서를 무지성으로 따라서 하는경우가 많았습니다. 대략의 의미(지적편집도를 왜 봐야 하는지 같은..)는 알고 그런 과정을 통해 지역을 분석했지만 하나하나 디테일하게 ‘왜’ ‘굳이’ 줌아웃 줌인하면서 보는지 어렴풋이 느끼고는 있었지만 자세히 몰랐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나하나 찝어주시면서 왜 이 장표를 이렇게 봐야 하는지 이유를 말씀해 주셔서 참 좋았습니다! 단순히 과제가 아니라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수 있었습니다.
2) 중소도시의 가치를 판단할때 택지라는 환경과 연식이라는 부분이 항상 헷갈렸는데요, 어떤 부분에서 헷갈려하고 힘들어 하시는지 바로바로 찝어주셔서! 좋았습니다. 지역마다 다를테니 한번 분석해봐야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 부동산을 공식처럼 생각하지 말자. 사람이 사는 곳이다.. 정말 와 닿았습니다. 나만의 감정으로 접근하면 물론 안되겠지만, 그렇다고 수학처럼 공식이 있는 부분도 아닌데 정답을 찾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라면 어떤 요소를 더 좋아할 것인가? 이 두 개 중 어떤 단지를 선택할 것인가를 감정이입해서 생각해야 한다는 점!! 부동산은 공식이 아니라 사람이 사는 곳이다.. 꼭 명심 해야겠습니다.
4) 지방중소도시라고 오로지 84만 의미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니라는 점에 충격 받았습니다! 얼마나 협소하게 생각했던가…이것 또한 ‘공식’으로 접근했던 이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더 넓게 지역을 봐야 겠다고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5) 그 지역의 핵심 투자전략을 파악하라! 참..그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투자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기가 강사님이 알려주시면 음~ 그렇구나 하고 알게되지만 막상 저 스스로 그 지역의 핵심요소가 무엇인지 찾기가 아직은 어려운것 같습니다. 그 요소를 찾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질문’을 하고 그 질문을 여러가지 비교하면서 ‘검증’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동료들과 이야기도 나누고 말입니다~ 그전까지 그 핵심요소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하고 이 지역의 요소는 이런거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이번 임장지역의 핵심요소를 어느정도는 확신을 가지고 접근 할수 있도록 연구해야 겠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6) 안되는 것에 집중하지 말고 지금 내가 ‘할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
이번 강의에서 식빵파파님께서 얼마나 하나하나 알려주시려 하는지 잘 느껴져서 감동까지 받았습니다
단순히 조사하는게 아니라 ‘투자와 연결’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사고 해야하고 파파님의 가르침대로 해보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사실 요즘 ‘과제’처름 느껴지며 딜레마를 겪고 있었는데..이번 강의를 통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것이 과제가 아니라 투자를 하기위한 과정이라는 생각이 다시한번 와 닿았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BM 하고 싶은 점!
이번에 BM하고 싶은 부분이 너무 많았습니다!!!!
1) 중소도시는 초등학교도 유의미하게 봐야한다. 이번에 임장하는 지역에도 조사해 봐야겠습니다.
2) 이번에 시세를 30평형만 조사했는데, 20평형도 조사해서 꼭! 결론까지
3) 그 지역투자의 핵심요소를 파악하라! ( 지금 임장중인 지역 환경과 연식 중 과연?)
4) 시세트래킹과 앞마당 연결, 식빵파파님이 제시해주신 틀 그대로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처음 시도하는 방법이라 잘 할수 있을까 걱정도 되지만 BM 해서 꼭 힘있는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완두콩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