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RHK
3. 읽은 날짜: 2024.08.26. ~ 2024.08.29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3. 몰입은 뇌도 춤추게 한다.]
# 능동적인 몰입
다른나라끼리 하는 축구시합은 크게 몰입이 안되지만, 우리나라의 축구 특히, 한국과 일본의 대결 등의 축구시합은 그 몰입도가 차원이 다르다. 그것은 경기를 보는 우리의 내재적인 마음이 반드시 이기기를 바라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즉, 어떠한 긍정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으면 몰입에 들어가기 더 수월하며 몰입도가 더 올라간다는 것이다.
또한 몰입에 있어서 목표를 가지고 몰입하는 것은 매우 좋으나, 사업을 하다가 부도에 쫒기는 듯한 위기상황에서 하는 몰입보다는 열애하듯,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가 몰입을 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목표를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몰입을 하는 그 목표나 대상이 나를 위한 긍정적이고 설레는 주제를 가지고 목표를 세우고 몰입을 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이다.
[Chapter7. 어떻게 살 것인가?]
# 인생의 깊이를 더하는 몇가지 질문 # 성공하는 삶의 조건
우리는 어떤 일을 하든 능동적으로 해야 한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해야 할 일을 좋아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해야 하는 일을 좋아하게 되려면 능동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능동적으로 일을 하려면? 아인슈타인의 제1법칙 - ‘엔트로피 법칙’ 즉, 어떤 일이 일어나려면 반드시 그것을 일으키는 구동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처럼 어떤 일을 할 때는 그 일을 하게 만드는 동기부여 또는 이유가 있어야 하며 이것이 바로 엔트로피 법칙에서 말하는 ‘구동력’이라는 것이다.
다시 돌아와서 능동적으로 일을 하려면 이 ‘구동력’을 수동적인 이유가 아닌 능동적인 목적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두꺼운 책을 열심히 읽었지만, 사실 책의 모든 순간을 ‘몰입’해서 읽지는 못했다. 적어도 몰입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해를 하였고, 몰입을 하기 위해서는 수동적이고 쫒기듯 몰입을 할 수도 있지만, 결국 내가 얼마나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려고 노력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고, 같은 몰입이라도 후자쪽이 훨씬 더 효과가 좋고 더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이 아니라 내가 하는 일을 하고 싶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서 꽤 많은 울림을 받을 수 있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지금 내가 세운 목표들이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목표가 맞는지 점검하고 그렇지 못하다면 수정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40) 나는 어떻게 하면 후회하지 않는 인생을 살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고민하게 되었고, 결국 이 문제가 그 때 이후로 지금까지 내 인생의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P. 171) 우리 몸에 입력된 정보의 절실성은 입력된 자극의 세기가 클수록, 정보의 입력이 반복될수록 증가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에 임할 때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강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면 절실성이 증가하여 실수에 대한 부정적인 보상이 크고 성공에 대한 긍정적인 보상이 커진다. 이는 경기에 임하는 모든 활동의 결과로 흥분의 정도, 즉 의미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p. 301) 좌절이 잦아지면 ‘노력해도 소용없다.’는 고정관념이 생겨 결국 노력 자체를 하지 않게 된다. 노력에 대한 보상이 없기 때문이다. 세상사를 가만히 살펴보면 과정은 자신의 영향력 안에 있지만 결과는 자신의 영향력을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 영향력을 벗어난 것에 대해서는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 좌절은 백해무익하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좌절하지 않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
댓글
1퍼센트의가능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