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재미있는 투자자가 되고 싶은 영탁이 입니다. (이제..투자만 채우면…될텐데 ;;)
2강 줴러미님의 강의 후기 남깁니다. 저는 줴러미님 강의를 처음 들어서 새로운 인사이트에 분임, 단임 그리고 매임이 이런 의미 였구나를 다시 한번 깨우쳤고, “저평가 매물을 찾아 투자 하는 방법”의 목적지는 동일 하지만 추석 귀향길처럼 가는 방법은 정말 많구나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 본격 강의 후기 고고!!
그 동안 열심히 가르쳐준 강사님들이 인풋을 넣어주셔서 이렇게 이해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분위기 임장
- 투자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분임을 통해 생활권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열심히 분위기 이장 루트 숙제를 하고, 슬슬 지역감을 잡기 위해 첫 만남을 분임으로 보통 하는 것, 이었던 것입니다!
분임을 하다보면 “아..월부고 뭐고 다 때려치고 여기서 놀고싶다” 이게 환경 상!!입니다. 사실 가장 좋은 환경은 누구나 다 알기에 저희는 환경 중~하의 그 사이 간극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엇! 그렇다면 중은 무엇이냐? "상권도 제법..이정도면 살만하겠다?" 예시로 우장산을 가보면 알 수 있는데요, 분위기 하는 여긴 아니다 싶은 곳입니다. 저희는 그 사이의 간극 조정하며 비교평가로 우선순위를 찾아야 합니다!
- 선호도를 구분하는 요소는 무엇이냐? 딱!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줴레미 강사님께서 경험으로 말씀하시길 상권, 지하철/철도, 도로6차선이상, 고가대로 등을 예시로 주셨습니다. 단절이 되면 단절감으로 포근하게~ 좋아지는 곳이 있고, 확 나빠지는 곳이 있으니 역시 발로 밟으며 느낌을 파악 해야 합니다. 이때 내가 임장하고 있는 지역 뿐만 아니라 임장지와 연계된 지역까지 모두 생각하는 고차원적인 사고! 군을 벗어나서 생활권, 단지로 이어지는 사고가 필요합니다.(저는 우선..임장지부터..)
# B.M: 생활권을 비교할 때, 가격을 붙여 나눠버리지 말고 느낌으로 먼저 구분한 뒤 가격을 보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단지임장
- 입지가 먼저냐 겉모습이 먼저냐! 둘 다 중요합니다. 저도 현 거주지를 선택할 때 월부식 계산보다는 직관으로 현 거주지를 선택 했습니다. 순식간에 머릿속에 "이건 안 좋지만, 이건 좋아 근데 가격이 이정도면 충분해!"를 생각해버린 것이죠. 단지 임장은 저런 생각을 모든 단지에 내가 살 것처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이라 생각이 듭니다.
- 단순하게 조경, 관리 상태, 규모, 동간 거리, 분위기, 보도 블럭 등을 보며 거주민들이 얼마나 신경을 쓰고 있고 관리를 하는 곳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그러고 주변 상권을 보며 내가 여기 산다면 만족할까? 불편할까?를 생각하고 정리를 해야 합니다! (저도 이제부터 잘 하겠습니다.)
- 자! 그럼 분임으로 파악한 생활권의 위상과 단임으로 파악한 선호도 그리고 주변 입지 위상을 섞어서 열심히 열심히 돌려 준 후 마음속의 순위를 써내려 간 후 가격을 붙이면 짜잔! 순위가 어긋나며 전임/매임을 통해 저평가를 확인해야할 단지들이 나오게 됩니다! (헉헉…더이상 못하겠습니다..)
전화&매물임장
- 이때 너무 대본 외우듯 “괜.찮.아.요?.많.이.다.친.것.아.니.죠?” 금지입니다. 강남가려면 어떻게 가야해요? 사장님 안녕하세요 다음에 붙이면 안됩니다.
- 완료 공식 : 1개 생활권당 부동산 4~5개 X 단지 1~2개 X 매물 2~4개
- 매너 : 20분전 도착
- 필수 : 오늘 볼/본 물건 정리 및 사장님과 1등 퀴즈 내기, 이동 전 정리하기
아직 매임전인데..! 위 방법으로 진행해 보겠씁니다. 과연..저는 저대로 할 수 있을지? ㅎㅎㅎㅎㅎ (뭔가 빵꾸가 나겠지만…그래도 어설프게나마 따라할수있길..!)
위 방법들로 임장이라는 행위를 마칠수가 있다니..!!!!! 정말…쉬ㅂㅈㅛ/,.,? 앗 오타가 말이 안써지네요 ㅎㅎ 그래도 저희는 해.나.가.야.합.니.다! 숨 참고 해보시죠 저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이상 2강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