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루하루 투자공부 시간을 모아서
잃지 않는 투자를 하고 싶은 모아모두 입니다
비교평가의 기본 원칙. 그래프에 의존하고 있나요?
지난날 앞마당에서 그래프를 보고
판단하는게 왜그리 어려웠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프에 나와있는 결과에만 의존을 하다보니
가치판단에서 내렸던 결론과 다른 가격에 혼란스러웠는데요
전고점을 보고 먼저 판단했었는데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부분 때문에 많이 혼란스러웠습니다.
"전고점은 좋은 참고치이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지금같은 시장이 아닌 전고점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가치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프를 제대로 보자!
1. 흐름이 다른지역간의 단지 비교말고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끼리 비교한다.
2. 5년이상 단지로 비교하기.
전고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신축단지와 그렇지 않은 단지를 비교하면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다.
3. 한꺼번에 많은 단지 말고 2~3개로 비교하기.
"1등으로 뽑은 모든 단지에 매달 투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모의투자를 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면서
투자에 대한 통찰력을 높여나갈 수 있습니다"
모의투자를 통해 경험 쌓기
임장보고서를 쓰면서 1등을 뽑았는데
실제 투자로 이어지지 않다 보니
가격체크 정도로 그치는게 아쉬웠습니다.
가격 흐름을 주기적으로 시세트레킹을 통해 모니터링함으로써
임장을 하고 임보를 쓰고 내린 결정이
잘 결정했는지, 어떤부분이 틀렸는지
복기를 하면서 투자에 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기에
반드시 적용해보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비교평가와 1등 뽑기 잘하는 법
비교평가의 원리와 방법을 배우고
여러지역과 단지들을 계속 쌓아간다
비교평가와 1등뽑기를 반복한다
비교평가의 재료들을 계속 채워가는 것
3대 시세 -ing
시세트래킹, 시세스캐닝,시세그룹핑
“시세트래킹이란 내가 만든 앞마당에 낚시찌를 뿌려 두는 것 ”
임보 완성하고도 지역을 완벽하게 파악하는게 어렵지만
시세트래킹을 통해서 계속 파악 할 수 있다.
각 단계들을 해야하는 이유와 방법과 예시를 알려주셨습니다.
희미하게 있던 1등뽑기 결론에 대해
한걸음 더 이해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지금 나의 단계에서는 어떤 것들을 실행해야 하는가?
1등 뽑기가 왜 어려운 걸까?
1등 뽑기를 하기 위해서는
가치를 잘 알아야 한다는 본질을 계속 말씀해 주셨습니다.
내가 노력한 임장과 임보가
투자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흐름을 알려주셨는데요
임장을 하다보면 가치 있고 좋은 것에만 눈이 가고
생활권의 후순위는 멀리 재쳐두고
투자 대상으로 보지 않게 되는데요
덜 좋아도 충분히 저평가 되어 있고
내가 감당이 가능한 투자를 해서 투자의 경험을 쌓고
안전하게 수익을 실현하여
더 좋은 투자로 연결하는 표본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지금 열심히 한 것이 바로 결과물로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1~2년 후 반드시 부자로 가는 단계에 도움이 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지금 지방에 투자를 했지만 지방 시장을 나의 자산 목표를 완성하는 투자가 아닌 자산을 쌓는 과정에서
실력과 자산을 쌓아서 더 좋은 기회로 넘어가는 (더 나은 실력) 계기로 삼아야 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긴 시간동안 많은 인사이트를 나눠주신 게리롱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
BM
모의투자
댓글
모아모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