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거주 + 투자 시 전세 리스크대비하는 방법 문의드립니다(주담대 관련)

정확한 답변을 원하시나요?

제목에 궁금한 점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조금 더 자세히 작성하세요. 최소 5자 이상

예시) 집 팔고, 다음 날 누수 연락을 받았는데 수리해줘야 하나요?

 

질문 내용필요한 정보를 자세히 작성하세요.

  • 질문이 길 경우 읽기 쉽도록 단락을 구분합니다.
  • 질문이 여러가지 일 때는 질문1. 질문2. 질문3... 으로 나눠서 작성합니다.
  • 특정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에 대한 질문이라면 지역명과 아파트 이름을 정확히 작성합니다.

 

 

안녕하세요

공부 중 궁금한 것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투자 시 세입자 못 구했을 시 
리스크 대비로 주담대를 일시적으로
받는 방법 문의인데요

1.  만약 실거주를 주담대 매매로 했을 시
   2호기, 3호기 늘려갈 때
   리스크 대비 주담대를 중복으로 못    
   받을 테고

2.  실거주를 전세 대출을 했다면
    (+ 1호기 투자한 상황)
    2호기 투자 부터 또한 1주택 보유 시
    주담대가 안 나오는 걸로 아는데

이는 어떤 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실거주를 월세로 사는 방법만 있는지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라즈베리suser-level-chip
24. 10. 31. 21:52

하루머니님 안녕하세요~ 공부 내용 복습중이시군요 ^^ 말씀하신대로 실거주 대출이 있는 경우에는 투자 단지 주담대에서 DSR에 걸릴 가능성이 있고, 실거주 전세대출 또한 다주택이 되었을 경우 상환 의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주담대가 안나온다기보다는 실거주 전세대출에 이슈가 생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1금융뿐 아니라 2금융 등 대출 상담사 여러분과 상담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거에요~ 어떻게든 방법은 있더라고요 ^^ 화이팅입니다!

졍이suser-level-chip
24. 11. 01. 01:38

하루머니님 안녕하세요~ 투자 시 세입자를 못구해서 잔금을 치는 경우 어떻게 할 수 있을지가 궁금하시군요~ 만약 잔금을 칠 수 없는 자금상황이라면 말씀하신 것처럼 기존의 주담대가 있는 경우 추가 주담대로 잔금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전세대출이 있는 경우라도 주택매수시 전세대출 회수조건이 붙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잔금이 어렵다면 잔금 리스크를 헷지하는 방법으로 주인전세를 맞추거나, 전세와 매매 계약을 동시에 작성하거나, 아니면 세낀 매물을 매수하는 등의 방법으로 리스크를 헷지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공부 화이팅 입니다 ^^

우도롱user-level-chip
24. 11. 01. 17:18

하루머니님 안녕하세요, 저도 투자에 앞서 다주택 주담대에 대해 부담이 있었는데요~ 실거주 주담대든, 전세자금대출이든 새로 매수하는 주택에 대해서는 (규제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부분 주담대가 가능합니다. 또한 기존 세입자가 나가면서 보증금을 반환하기 위함이라면 임대인용 대출 상품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기존에 이용중인 대출상품(주담대, 전세자금대출)의 조건이 무주택 유지인 경우는 대출이 환수될 수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라즈베리님께서 답변해주셨듯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주택 구매시 전세대출 환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세 수요가 충분한 곳이라면 전세가격을 조정해 주담대를 받지 않고 투자를 이어갈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하루머니님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