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재테크 기초반 3기 강의듣고 있는 부자엄마공여사입니다.
너나위님의 1강 강의 들으면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1) 연금저축 한도 400만원 → 600만원
제가 처음 연금저축 가입할때는 한도가 400만원이었는데 600만원으로 올랐나봐요.(몰랐어요^^;;)
400만원 → 매월 34만원씩 불입하기로 하고
자산운용사 16만원, 증권사TDF 18만원씩 불입해왔는데요,
600만원 한도에 맞춰 남은 차액 200만원 만큼
11, 12월 중 추가 납입한다면 600만원에 대한 16.5%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질문 2) 아이들(미성년자) 연금저축이 부모의 연금저축한도에 합산되는지 여부
아이들 명의로 적지만 10만원씩 적립식펀드만 넣어주다가
최근에 자산운용사에 아이들 명의의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만들어서
10만원씩 TDF를 매수해주고 있는데 아이들 명의의 연금저축 계좌가
제 한도에 잡히는지 궁금해졌어요.
1)에서 제가 불입해온 400만원과 아이들 명의로 가입한(제가 관리) 연금저축계좌 금액이
합산되어 한도로 잡히는지요. 아주 최근에 개설해서 10만원씩 2명, 4번 불입해서 100만원도 안되긴 해요^^;;;
혹시나 해서 문의드립니다.
질문 3) 연금저축계좌를 ETF 기반으로 운용하라고 조언해주셨어요.
저는 증권사에서 TDF로, 자산운용사에서 적립식펀드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강의에서 ETF 기반(미국), 영구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서 운용하라고 조언해주셔서
적립식 펀드로 운용하는 것을 중단하고 이번 달부터 바로 ETF로 바꿔서 진행하면 좋을지,
아니면 적립식 종료기간까지는 적립식펀드로 불입하되,
그 이후에 ETF 매수하는 방식으로 바꾸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현재 기준, 수익률이 괜찮아서 그대로 가도 될 것 같기도 한데, 강의 중 보여주신 S&P500지수 그래프를 보니 미래를 생각해서 변경해야하나 싶어서 문의드려요.
자산운용 적립식펀드 수익률이 현재 기준 12%, 증권사 TDF 17%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불입한지 얼마 안되서 총액은 작습니다^^;;;
현명하게 여유로운 노후 준비하고 싶은데 이제라도 월부를 알게되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어요.
늘 감사합니다!
댓글
부자엄마공여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