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들으면서 ‘아~그렇지..’하며 고개를 끄덕끄덕하였다.

지난주 내가 동료들과 단지를 임장할때도 사실 헷갈리는게 많았다.

참 어려운 숙제인것 같다. 비교평가. 뭐랑 뭐를 비교를 해야 하는지?

땅의 입지는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

게롱님 강의에서는 부산을 지역분석하시면서 의문점이던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의 가름마를 타주셨다.

 

[지방에서 구축투자 의사결정 기준]

1.무조건 입지가 좋은 곳의 구축투자

2.최대한 싸게, 적은 투자금으로

3.입주물량 없는게 2년이상 지속되는 곳

4.중소도시:상품성>입지

                -입지좋은신축> 입지떨어지는 신축>입지떨어지는구축(X)

  광역시:입지(도시가커질수록) 상품성(도시가작을수록)

<입지가 안좋은 구축은 아무리 싸도 투자X>

[지방아파트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

1.

 

 서울&수도권지방광역시지방중소도시
입지

빈땅이없다

=땅의가지 높다

빈땅이 적다

=땅의 가지 중간

빈땅이 많다

=땅의 가지 적다

상품성입지>상품성입지=상품성입지<상품성
투자결정

입지가 좋은곳중 

상품성 상품성좋은것

연식과 입지를 

함께 고려

신축을 우선으로

2.광역시의 입지가 좋은 구축은 웬만한 신축도 이길 수 있다.

  단)광역시라 하더라도 입지가 떨어지는 구축은 투자X

3.중소도시는 입지보다 웬만하면 신축의 수익률이 더 좋다

   중소도시의 입지가 떨어지는 구축은 잃을 수도 있다

 

[저평가 저가치 판단법]

연식입지전세가 
구축입지안좋음 오르지않음저가치
구축X입지괜찮음올랐다떨어짐저평가

이렇게 한방에 정리해주신 게롱님 감사드립니다.

단임하면서 잘 활용해 볼께요..아직은 어렵지만…

 

 

 

 

 

 

 


댓글


투자사업가
24. 11. 27. 00:16

고생했어요 ^^

여븨
24. 11. 30. 18:17

진짜 게리롱님의 정리 완전 깔끔하게 이해되어서 넘 좋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