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즐겁게 꾸준히 투자실력을 쌓고 있는 메리곰입니다.
B지역은 저에게 너무나 먼 지역으로 느껴졌는데
게리롱님 강의를 듣고 실전 투자자로서 반드시 임장해보고 싶은 지역이 되었습니다.
언제가 명쾌하고 명확한 강의를 해주시는 게리롱님! 감사드립니다. ^^
<기억할 것>
-미리 준비를 하고 있어야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다.
-인구는 곧 부동산 수요다. 가치가 있는 것은 인구가 많은 곳에선 희소성이 생겨 상승력이 더 좋다.
-입지 가치가 있는 곳은 구축 투자도 가능하다.
-영유가 인구가 많은 신도시는 학군이 아직 덜 중요한 입지 요소이다. 학령기가 되면 학군이 좋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역의 핵심일자리가 안 보이면 연봉 수준이 높은 산업의 종사자수를 확인한다.
-공급이 많다고 투자를 안 하는게 아니라 리스크가 있음을 알고
리스크를 피해가거나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며 투자해야한다.
-광역시는 역세권이라고 투자해서는 안 된다. 입지와 거주수요가 더 중요하다.
-잘하는 것보다 똑같은 일을 계속, 지독하게 반복하는 게 진짜 대단한 일이다.
-꿈은 목적지가 아닌 항새, 그 자체이다.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의 행복을 포기하는게 아닌 현재의 과정에서 행복의 요소를 찾으며 해나가야 꾸준히 할 수 있다.
-질문은 가장 많이 던지는 사람이 가장 많이 얻어갈 수 있다.
<적용할 점>
-지역의 시장 상황이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신문 기사 챙겨보기
-지역의 시장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해 매매물량과 전세물량 확인하기
-지역 분석할 때 숲에서 점점 나무로 초점화 시키기
-상위 학군지와 대체 학군지(가성비 학군)를 지도에 표시해보기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투자 기준을 잘 이해하기
-공급에서 재개발 재건축까지 확인하기
-공급량을 지도에 올려서 위치 확인하기
댓글
메리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